* 세계산림총회(World Forestry Congress : WFC): 산림 지식·경험 공유, 산림 보존·관리, 사회·경제·제도적 문제에 관해 논의하는 최대 규모의 산림 국제회의로 ‘산림분야 올림픽’으로 불린다. FAO 주관으로 6년마다 대륙별로 개최.
산림청은 산림청장을 수석대표로 한국 대표단을 꾸려 ‘제23차 FAO 산림위원회(18일∼22일 로마)’에서 세계 120여 개국 대표 600여 명을 대상으로 유치활동을 펼쳤습니다.
* FAO 산림위원회(Committee on Forestry) : 세계 산림과 관련된 문제를 주기적으로 검토하고 산림분야 중장기 프로그램 마련과 이행에 대한 권고사항을 합의하는 회의로 2년마다 열림.
신 청장은 21일 산림총회 유치 제안 발표에서 한국이 차기 산림총회를 개최할 최적지라며 한국의 성공적인 국토녹화 경험과 기술을 공유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비전을 위해 차기 총회를 한국 서울에서 개최하길 희망합니다.
이어 한국 대표단 대변인으로 참석한 나승연 오라티오 대표는 한국 개최의 당위성과 총회를 개최할 수 있는 역량, 철저한 준비 상황을 소개했습니다.
이날 산림청은 제안 발표를 통해 그동안 14번의 총회 중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열린 경우는 단 두 번뿐이며 이마저도 1978년 인도네시아에서 개최된 이래 40여년 가까이 아·태지역에서 열리지 않았다는 사실을 상기시키면서 차기 총회는 반드시 한국에서 개최되어야 한다고 호소했습니다.
또한, 한국 산림청은 그동안 여러 국제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경험이 많고 관련 행정절차를 마무리하는 등 타 경쟁국보다 더 성공적으로 총회를 치룰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제안 발표 중간에는 개최도시 서울의 홍보 동영상이 상영되었습니다. 참석 회원국 대표들은 전쟁의 폐허를 딛고 푸른 녹지공간의 역동적인 도시로 성장한 서울의 발전상에 뜨거운 관심을 가졌습니다.
아울러, 산림청은 공식 제안 발표 외에도 중국·파라과이·칠레 등과 양자면담을 갖고 한국개최 지지를 호소했으며 20일 밤에는 산림총회 유치 홍보를 위한 ‘한국의 밤 부대행사’를 가졌습니다.
현재 산림총회 유치를 위해 우리나라 외에도 이탈리아와 페루가 유치 제안 발표를 했지만 한국은 타 경쟁국가 보다 압도적인 지지발언을 이끌어 냈습니다.
한편, 차기 산림총회 개최국은 이번 제안발표를 토대로 ‘제155차 FAO 이사회(오는 12월 이탈리아에서 개최)’에서 최종 결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