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2017년 기준 목재이용실태조사’ 발표
- 원목구입량 3.9% 감소...목재소비 증진 위해 원목이용시장 변화 -
산림청은 제재업 등 12개 업종을 대상으로 ‘2017년 기준 목재이용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원목 구입량과 목재제품 생산량이 소폭 감소했습니다.
산림청은 목재산업의 현황 및 원목의 생산과 유통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07년부터 한국임업진흥원에 위탁해 매년 목재이용실태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수종·용도별 원목의 수요공급과 목재제품별 수급·유통 등 세분화된 통계로 작성된 이번 보고서는 각종 산림분야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조사 결과, 2012년부터 꾸준히 증가하던 원목 구입량이 2016년부터 감소해 2017년에는 8,099,716㎥로 전년 대비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장작제조업(-47.4%), 톱밥·목분제조업(-43.9%), 표고버섯재배업(-15.4%) 분야에서 원목 구입량이 가장 크게 감소했습니다.
이는 제재업, 방부목재업, 합판보드업 등 규모 있는 산업이 주춤하면서 나타난 결과로 보입니다.
반면,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대로 목재펠릿(12.9%)과 파티클보드(41.8%) 분야에서는 원목 구입량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목재제품별 생산량을 살펴보면 목재펠릿*(99.7%)과 파티클보드**(4.2%)가 2016년 대비 크게 증가한 반면, 장작 제조업(-47.4%), 톱밥·목분제조업(-33.4%), 목초액(-21.2%), 표고재배업(-15.0%), 섬유판(-12.3%), 합판(-9.9%) 등은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 목재펠릿 : 숲가꾸기 산물 등을 파쇄·건조·압축해 만든 목재연료로 재생이 가능해 친환경적이다.
** 파티클보드 : 목재의 작은 조각을 주원료로 접착제를 사용해 성형·열압한 판.
제품 용도별로는 건설경기의 영향으로 가구재(26.2%)와 건축 구조재(18.5%)의 생산량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했으나, 수출물량 감소로 수출 포장재용 목재제품 사용량이 감소하면서 데크재(-23.5%), 파렛트/포장재(-18.0%)는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밖에 원목을 사용하는 업체는 715개고, 이들 업체의 매출규모는 2조 3천 517억 원으로 파악됐습니다.
업체당 평균 매출규모는 32.4억 원이고, 10.8명을 고용하고 있으며 직원당 평균 임금은 231만 원으로 조사됐습니다.
※ 2016년 조사 결과 업체당 평균 매출규모는 33억원, 10.9명을 고용했으며 직원당 평균 219만원의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공표된 ‘2017년 기준 목재이용실태조사’ 보고서는 산림청 누리집(www.foresg.go.kr)→분야별 산림정보→통계자료실 또는 한국임업진흥원 누리집(www.kofpi.or.kr)→통합자료실에서 내려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임업진흥원 산업지원실(☎02-6393-2645)로 문의하면 됩니다.
우리 산림은 70년대 집중적인 조림과 산림보호 정책으로 목재수확기에 도달했으며 산주의 소득증대 및 목재산업 활성화를 위해 원목이용시장을 다변화하기 위한 정책을 펼쳐나갈 것입니다.
'읽는 산림청 > E-숲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림청, ‘국민참여형 국제산림회의’ 만들기 위해 인천시·민간과 머리 맞대 (0) | 2018.12.21 |
---|---|
산림청, 신품종 보급 위해 국유품종 통상실시 계약 공고 (0) | 2018.12.21 |
산림청, 산사태재난 인식증진 영상공모전 성황리 종료 (0) | 2018.12.19 |
산림청,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바우처)’ 내년 35000명 지급 (0) | 2018.12.19 |
산림청,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공포 (0) | 2018.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