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기는 산림청/우표 속 숲 이야기

<#우표속숲이야기 NO.2> 추운 겨울을 이겨내고 ' 봄을 부르는 설중매 '

대한민국 산림청 2022. 2. 25. 15:16

 

 


 

✿ 추운 겨울, 눈 속에서 꽃 피우는 매화

매화나무는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일찍 피기에 ‘조매(早梅)’, 추운 날씨에 핀다고 ‘동매(冬梅)’, 눈 속에 핀다고 ‘설중매(雪中梅)’라 한다. 우표 자료와 같이 매화꽃은 지붕 위와 주변에 흰 눈이 소복이 쌓이는 대한(大寒)과 소한(小寒) 사이에 핀다. 대한이 24절기 마지막 절기로서 큰 추위를 뜻하며 그 다음 절기는 입춘(立春)이다. 매화는 이처럼 아직은 눈발이 흩날리는 이른 봄부터 꽃을 피운다. 대지에 생명이 깨어남을 알려주는 첫 신호를 매화로부터 듣자.  




✿ 흰 꽃이면 ‘백매(白梅)’, 붉은 꽃이면 ‘홍매(紅梅)’

매화 꽃잎은 다섯 개인 것이 기본형이지만 그 이상인 것도 있으며, 꽃잎이 다섯 개보다 많은 것은 만첩 흰매화 · 만첩분홍매화 등으로 구별하고 있다. 꽃이 잎보다 먼저 피며 향기가 강하다. 처음 사람과의 인연은 꽃이 아니라 열매로 출발했다. 열매는 살구 비슷하게 생기고 녹색이며 털로 덮였으나, 7월이 되면 황색으로 변하고 매우 시다. 홍색으로 익기 전에 따서 소금에 절였다가 햇볕에 말린 것은 백매(白梅), 소금에 절이지 않고 볏짚을 태워 연기를 쐬면서 말린 것은 오매(烏梅)라 하여 약용으로 활용하였다. 





✿ 사군자에 등장하는 매화나무

추위를 이기고 꽃을 피운다고 하여 불의에 굴하지 않는 선비정신의 표상으로 집 주변에 많이 재배하였고, 시나 그림의 소재로도 많이 사용하였다. 단아한 꽃과 깊은 꽃향기가 있어 시·서·화 등에 빠짐없이 등장할 만큼 우리 조상들의 사랑을 받아온 나무이다.





✿ 매화가 만개한 시기

아무래도 조선왕조에 들어오면서부터다. 난초, 국화, 대나무와 더불어 사군자의 첫머리에 꼽히고 세한삼우 송죽매(松竹梅)로 자리를 차지하면서 매화는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지식인들의 문화이자 멋이고 풍류가 되었다. 연화 엽서에도 대나무와 같이 사용되었다. 매화를 노래한 수많은 조선의 선비 중에 퇴계 이황만큼 매화 사랑이 각별했던 이도 없다. 매화 시91수를 모아 《매화시첩》이란 시집으로 묶어두었고 문집에 실린 것까지 포함하면 무려 107수의 매화시를 남겼다. 그는 매화를 그냥 매화로 부르기조차 삼갔다. 퇴계의 시 속의 매화는 흔히 매형(梅兄) 아니면 매군(梅君), 때로는 매선(梅仙)이 되기도 했다.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매화나무가 전남 장성 백양사

스님들은 1700년경부터 매화나무를 심고 가꾸어 오다가 1863년 대홍수가 나서 절을 현재의 자리로 이전할 때, 옛 백양사 앞뜰에 있던 홍매와 백매를 한 그루씩 옮겨 심었는데 백매는 죽고 홍매만 남았다. 1947년 부처님의 원래의 가르침을 기리자는 뜻으로 백양사 고불총림(古佛)을 결성하면서 고불총림의 기품을 닮았다 하여 이 홍매를 '고불매'라고 부르게 되었다. '고불(古佛)'이란 '인간 본래의 면목'을 뜻한다고 한다. 수령은 350년 정도이며, 매년 3월 말부터 4월 초까지 담홍색 꽃을 피운다. 꽃 색깔이 아름답고 향기가 은은하여 산사의 정취를 돋운다. 또한 역사성과 학술 가치가 크다. 그리고 백양사 고불매는 한국의 4대 매화이며 호남오매(湖南五梅) 중 하나다. 백양사 고불매, 선암사 선암매, 가사문학관 뒤 지실 마을 계당매, 전남대 대명매, 소록도 중앙공원 수양매가 호남오매라고 한다.




※ 본 기사는 산림청 전문필진 권원님의 연재 글입니다. 콘텐츠의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