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바다위의 싱그러운 자태
이유미 국립수목원 박사
여름이 무르익을 대로 익었습니다. 붉은 계열의 색깔이야 뜨거움을 표현함에도 불구하고, 명주실처럼 고운 실타래를 풀어 피워낸 듯한 자귀나무의 진분홍빛 꽃이 시원스럽게 느껴지니 참 이상합니다. 그 모양새 때문일까요? 초록빛 잎새를 무성히 매어 달고 퍼지 듯 사방으로 드리운 가지며 그 끝에 매달린 꽃송이들은 야성의 싱그러움을 주면서도 그 개성미가 멋지답니다.
두 잎을 마주 닫고 밤을 보내는 이 특성 때문에 자귀나무는 합환목, 합혼수, 야합수, 유정수 등 여러 가지 이름을 가지며 옛부터 신혼 부부의 창가에 이 나무를 심어 부부의 금실이 좋기를 기원하곤 했습니다. 자귀나무는 꽃이 유난히 인상적입니다. 소나기가 몰려간 뒤 청명한 하늘에 흰구름을 배경 삼아 나무의 가장 높은 곳에서 피어나는 꽃은 한 가지에 스무개 가량의 꽃이 우산모양으로 모여 한 덩어리를 이룹니다. 술처럼 늘어진 그 아름다운 꽃은 수꽃의 수술이고, 이 공작새의 날개처럼 한껏 아름다움을 과시하는 수꽃사이에서 미처 터지지 않은 꽃봉오리처럼 봉긋한 망울들을 맺고 있는 것이 암꽃입니다.
그러나 시월이 되어 선선한 바람이 불고 익어가는 열매는 콩깍지 모양으로 한 뼘쯤 길게 드리운 꼬투리로 바람에 부딪혀 달그락 거립니다. 이 소리가 유난스러워 거슬렸던지 사람들은 '여설목'(여자의 혀와 같은 나무)이라 불러 그 소리의 시끄러움을 구설수에 올리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뭐라 하든 자귀나무의 입장에서 보면 그것은 결국 후손 번식의 방법입니다. 이렇게 바람 따라 열매가 부딪히다 껍질이 깨어지고 그 안에 종자가 땅에 떨어지는 것이죠.
예전 자귀나무는 농사를 짓는 지표가 되기도 했답니다. 자귀나무의 마른 가지에서 움이 트기 시작하면 농부들은 이제 늦서리의 우려가 사라졌다며 서둘러 곡식을 파종하고 싱그럽게 커가던 자귀나무에 첫번째 꽃이 필 무렵이면 밭에 팥을 뿌렸습니다. 하나 둘 터뜨린 꽃망울이 어느새 만발하면 농부들은 굽혔던 허리를 펴고 땀을 식히며 그 해 팥농사는 풍년일 것을 미루어 짐작하고 흐뭇한 웃음을 남기죠. 이러한 자귀나무는 소가 무척 좋아해서 이 나무가 나즈막히 자라고 있으면 소는 어디든지 좇아갑니다. 그래서 자귀나무를 소쌀나무라고 부르기도 했답니다.
자귀나무는 합환피라 하여 늑막염과 타박상을 비롯한 여러 증상에 처방하는 약이 되기도 하고 목재는 가공이 쉬워 기구를 만들거나 조각하는 재료로도 쓰였습니다. 현명한 아내는 자귀나무 꽃을 따다 말려 베게 밑에 넣어 두었다가는 남편의 마음이 좋지 않을 때면 꺼내어 술에 넣어 건넸다고 합니다. 아무리 울적해도, 세상사에 화가 나도 마음을 담아 내오는 아내의 향긋하고 아름다운 술잔에 어찌 마음을 풀어내지 않을 수 있을까요? 세상이 정말 어렵다고 하는데 그런 배려의 마음으로 가까운 사람들부터 챙겨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
산림청의 소리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즐기는 산림청 > 꽃과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최고령목, 향나무 (0) | 2010.08.03 |
---|---|
우리나라꽃, 무궁화 (0) | 2010.08.02 |
도도한 듯 우아한 길섶의 귀부인 (0) | 2010.07.20 |
약재·염료·목재로 쓸 곳 많은 팔방미인 "황벽나무" (0) | 2010.07.15 |
"인내"의 상징 "노루귀"를 아세요? (0) | 2010.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