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성분 첨단 신소재 이렇게나 많이 써? 국립산림과학원, '나노셀룰로오스 연구동향과 전망'세미나 개최
최근 미국, 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일본 등 임업선진국에서 국가의 적극적 재정지원을 바탕으로 한 나노 셀룰로오스 응용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런 요구를 반영해 2007년부터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기능성 첨단신소재 개발 연구를 이어왔고, 현 세계적 추세와 전망을 살피고자 지난 20일, 임산공학회의실에서 나노셀룰로오스의 연구동향과 전망을 주제로 한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세계적 석학인 미국 노스케롤라이나 주립대학의 올란도 로하스 교수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 행사는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발표 및 열띤 논의를 중심으로 진행됐습니다.
세미나에서는 재생가능한 천연 고분자로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가 지닌 기능적 우수성과 활용의 다양성 등이 언급됐습니다.
또한 미생물인 글루콘아세토박터(gluconacetobacter)를 배양시켜 얻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는 상처치료용 필름, 골 보강재, 연골과 혈관 조직 지지체, 나노복합재료로 활용되며, 셀룰로오스를 산가수분해하여 얻는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은 코팅재, 압전체 소재 및 나노복합재료 보강재로 쓸 수 있습니다.
로하스 교수는 이날 발표에서 "현재 전 세계적으로 나노셀룰로오스에 대한 수요 및 공급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새로운 첨단소재와 관련된 기초·응용연구들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어서 그 전망이 밝다"고 말했습니다.
국립산림과학원 목재가공과 이선영 박사는 "나노셀룰로오스 연구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리튬이온전지 양극·음극집전체 개발뿐만 아니라 의공학 신소재와 에어로젤을 이용한 나노복합소재 개발 시대를 열겠다"고 포부를 밝혔습니다.
한편,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해 세계 최초로 나무에서 추출한 다공성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로 리튬이온전지 분리막을 제조하는 데 성공해 그 기술을 인정받은 바 있습니다. |
산림청의 소리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읽는 산림청 > E-숲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 마루금 단절구간 복원사업 착착 완료 (0) | 2013.06.26 |
---|---|
토지황폐화 없는 세계를 꿈꾼다! (0) | 2013.06.25 |
산의 날 정부포상 국민추천 접수 (0) | 2013.06.25 |
지속가능한 발전교육 산림교육 국제세미나 개최 (0) | 2013.06.24 |
끊어진 백두대간 육십령 생태축 복원 완료! (0) | 2013.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