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 건강검진을 받듯이 산림도 5년 주기의 건강검진을 실시합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전국 산림을 대상으로 지난 4년간(2011~2014년) 전국 800개 고정표본점에 대한 산림건강성을 진단한 결과, 우리나라 산림의 86.6%가 건강한 산림으로 평가되었고 그 중 8.1%는 '매우 건강' 상태였습니다. 건강성이 다소 떨어지는 산림은 13.2%, 매우 쇠약한 산림은 0.2%로 평가됐습니다.
산림건강성 진단은 전국 산림을 대상으로 2011년부터 매년 200개소씩 5년 동안 1000개의 고정표본점에서 조사, 분석됩니다. 진단 항목은 수목, 식생, 토양, 대기 등 4개 부문의 29개 항목입니다.
산림건강성 평가는 수관활력도, 수관급, 형질급, 종다양성, 토양산도, 유기물함량, 유효토심 등 7개 평가 지표를 선정하여 평가합니다.
산림건강성 진단 항목별 분석 결과는 수관활력도(산림을 구성하는 나무들의 건강 상태)의 건강등급 비율이 89.6%로 나타났고 6.3%의 나무는 적정생육밀도(임분수확표 임령별 밀도 기준)보다 평균 1.2배 과밀한 상태에 있어 숲가꾸기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또 토양산도는 평균 pH 4.9±0.4로 생육적정범위보다 약간 낮았으나 토양 내 유기물, 전질소, 양이온치환용량 등 양분 상태는 생육적정범위를 나타냈습니다.
반면, 7개 특·광역시 도시숲을 대상으로 산림건강성을 모니터링한 결과, 과거 5년 전과 비교하여 임목의 수관활력도 건강등급은 평균 4% 감소하고 심한쇠퇴 등급은 평균 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토양내 유기물함량과 전질소는 각각 평균 27%, 38% 감소하여 적정범위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 도시숲의 건강성 유지 증진을 위한 관리가 시급한 실정입니다.
올해는 제1차 산림건강성 진단(2011~2015년)이 완료되는 해입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국가 산림건강성을 종합 평가하여 우리 산림을 건강하게 관리하기 위한 산림정책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산림건강성 변화 양상과 취약성 분석을 통한 대응 방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국가 산림건강성 정보 관련 웹사이트를 개설해 2017년 '산림건강성 등급지도'를 등재함으로써 대국민 서비스도 실시할 계획입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정기적인 산림건강성 진단·평가는 국민들이 보다 건강한 숲을 지속적으로 누릴 수 있는 국민행복시대의 기반입니다. 산림의 건강성을 과학적으로 보완·유지하고 증진기술을 개발해 나가 겠습니다. 건강쇠퇴가 우려되는 도시숲에 대해서는 정기적인 정밀건강검진 체계를 구축할 방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