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소나무'의 광복을 선언합니다!
- 한반도에 주로 서식하는 '소나무', '재패니즈 레드 파인'으로 불려 -
우리 민족과 함께 해 온 '소나무'의 영어이름이 '재패니즈 레드 파인(Japanese Red Pine)'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즉, '줄기가 붉은 일본 소나무'로 세계인들에게 알려져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한반도가 소나무 분포의 중심이지만 일본의 소나무가 서양인들에게 먼저 알려졌기 때문입니다.
이에 국립수목원은 식물주권 확보를 위해「국가표준식물목록」중 자생식물 4,173종에 대해 영문이름을 재검토하였습니다. 그 대상은 ▲한반도가 식물분포의 중심지임에도 다른 국가명이 들어간 식물 ▲우리 문화·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식물 ▲한반도에만 살고 있는 특산식물 ▲세계적으로 넓게 분포함에도 불구하고 특정 국가명이 들어간 식 물 등 입니다. 국립수목원은 이러한 식물들을 찾아 올바른 영어이름으로 고치거나 세계인이 부를 새로운 이름을 짓는 방식으로 검토하고 한글 발음을 명사화하여 우리말 이름을 그대로 영어이름으로 제안하였습니다.
식물 이름은 '학명'과 '일반명' 두 종류 가 있습니다. '학명'은 전 세계가 공식적으로 쓰는 이름으로 한 종의 식물에 하나의 이름만 붙입니다. 국제 식물 명명 규약(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의 선취권을 따르기 때문에 처음 붙여 진 이름을 바꿀 수 없습니다. 학명은 전 세계 공통이기 때문에 언어가 다른 국가 간에도 혼동할 염려가 없어 식물학자들이 학술용어로 쓰기에 편리하나, 라틴어로 되어 있고 구성 체계가 어려워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에 익숙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일반명'은 각 나라에서 서로 다른 언어로 식물에 붙여 부르는 이름으로 한 종의 식물에 여러 개의 이름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학명과 달리 일반명은 선취권이 없어 사람들이 많이 부르고 써서 널리 알려지면 사람들의 인식 속에 고착화됩니다. 일반명은 그 식물이 분포하는 지역, 모양을 떠올릴 수 있는 단어, 그 식물이 가지고 있는 특징적인 색깔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되어 쉽게 연상할 수 있고 외우기 쉽습니다.
바로 잡은 영어이름은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으로 발간되어 주요공관1) 및 유관기관2)에 배포될 예정입니다. 1) 주요공관 : 재외공관, 주재외국공관 등
전자책도 제작되어 국립수목원 누리집(www.kna.go.kr)과 구글 플레이 도서에서 검색하면 무료로 볼 수 있습니다. 바로 잡은 영어이름은 네이버 어학사전으로도 제공되어 언제 어디서나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또한, 이 사업의 취지와 의미를 알리기 위해 특별전시회도 개최합니다. 8월 5일부터 15일까지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1층 특별전시실에서 입장예약을 하고 방문한 관람객이라면 누구나 관람할 수 있습니다.
국립수목원은 식물 이름은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민족의 문화와 역사 그리고 식물이 가진 가치를 포함하는 '상징'이므로 올바른 영어이름으로 부르고 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반도를 대표하는 식물을 '코리아(Korea) 식물'로 부르도록 세계에 알리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습니다.
|
'읽는 산림청 > E-숲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골 사막화 방지를 위한 산림협력 사업 확대 추진 (0) | 2015.08.11 |
---|---|
국립산림과학원, 숲속 청소하는 애기낙엽버섯 발견 (0) | 2015.08.10 |
광복70년 기념 나라꽃 무궁화 큰잔치 개막 (0) | 2015.08.10 |
서울국제학교, 청소년 산림대회 논문 공모 최우수상 (0) | 2015.08.07 |
나라꽃 무궁화 콘텐츠, 우수작품 18점 선정 (0) | 201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