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산림청/아하! 궁금한 산림이야기

나무를 키우고 살아 숨쉬는 숲을 만드는 '산림토양의 기능'

대한민국 산림청 2016. 11. 15. 15:02

나무를 키우고,

살아 숨쉬는 숲을 만드는 

'산림토양의 기능' 

 

 산림토양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토양이란 지구표면을 덮고 있는 암석의 풍화물과 동식물의 분해물이 혼합된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산림토양 기후, 지형, 생물, 시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생성되며, 토양 내에는 모래, 자갈과 같은 광물입자, 다양한 동·식물과 그 유체, 공기 그리고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낙엽은 양분을 만들고, 두더지나 지렁이 같은 토양 속 작은 동물(토양소동물)의 배설물은 토양을 비옥하게 만듭니다. 이 토양 소동물들은 먹이를 찾으러 다니거나 집을 만드는 과정에서 토양 속에 빗물을 보관할 수 있는 크고 작은 공간을 많이 만듭니다.

 만약 낙엽이 잘 분해되어 양분이 많아지면 토양 소동물의 수와 종류도 늘어나고 활동도 활발해져서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극이 풍부해집니다. (예를 들어, 지렁이 분변토는 일반 흙과 비교하였을 때 질소, 인산, 칼륨의 함량이 월등히 높고 미생물의 밀도도 높아 천연비료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숲의 물은 왜 깨끗할까요?
숲은 호수나 저수지의 수질을 나쁘게 하는 질소나 인이 많이 포함된 오염물질의 농도를 낮추고 산성비의 산도를 중화시키는 기능이 탁월합니다.
오염된 빗물은 산림토양을 통과하는 동안 각종 이온들이 흡착·교환되는 과정을 통해 맑고 깨끗해집니다.

토양깊이가 깊고 물을 저장할 수있는 공극이 잘 발달한 숲일수록 빗물과의 접촉면이 많아지고 접촉시간도 길어져 오염된 빗물이 깨끗해집니다.
또 잘 발달된 산림토양은 토양 미생물들이 활동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줍니다. 토양 속에 사는 질산균은 비에 섞여 들어오는 질소 산화물을 분해해서 물을 맑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분해된 오염물질은 유익한 물질이 되어 식물의 양분으로 이용되거나 토양 속에 남게 됩니다.




 숲은 어떻게 홍수를 조절 하나요?
산림토양
은 학교운동장과 같이 단단한 토양에 비해 거의 20배 이상 빗물이 잘 스며듭니다. 그래서 비가 많이 오더라도 땅 위를 흐르는 물이 거의 생기지 않습니다. 땅 속으로 스며든 빗물은 토양 속을 천천히 흘러서 비가 그친 뒤에도 오랫동안 계속해서 흘러나오게 됩니다.

이렇게 숲은 비가 많이 올 때 많은 물을 땅 속에 머금어서 홍수를 줄여주는 기능을 합니다.

홍수조절기능이 높은 숲은 시간당 100mm 이상의 비가 내리더라도 홍수유량이 크게 증가하지 않습니다.

또한 홍수조절기능이 나쁜 숲에 비해 비가 많이 오는 시기에는 하루에 1ha 당 28.4톤의 빗물을 더 머금어서 홍수를 줄여줍니다.

(그림출처 : 최형태, 김수진, 임주훈, 김재훈, 임홍근 김주희. 2015. 알기 쉽게 풀이한 산림수자원 지식 20가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속보 제15-04호. p. 3-7.)


  

 

 

 

산림청의 소리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공감이 되셨다면 VIEW를! 가져가고 싶은 정보라면 스크랩을! 나도 한 마디를 원하시면

댓글을!
여러분의 의견을 모아서 정책에 반영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Follow me 친해지면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