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산림청/생생! 산림정보

산림식물, 용어만 알면 어렵지 않아요 - 잎편

대한민국 산림청 2018. 11. 26. 11:00





 잎의 구조

잎은 크게 부위를 엽신, 엽병, 탁엽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엽병(葉柄)’은 엽신을 줄기와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며 식물에 따라 엽병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엽신(葉身)’은 식물에 필요한 영양분을 얻기 위해 광합성작용을 하는 부분이며, 엽신의 모양은 식물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관찰됩니다. ‘탁엽(托葉)’은 일반적으로 엽병 끝부분에 붙어 있는 작은 잎을 말합니다. 



 잎의 부위별 용어

                                                                                     단엽                                                                                            복엽




 엽신의 구조

엽신의 윗부분을 ‘엽선(葉先)’이라고 하며, 잎의 가장자리를 ‘엽연(葉緣)’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엽신에서 아랫부분을 ‘엽저(葉底)’라고 합니다. 잎의 형태는 식물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일반적으로 엽선, 엽연 및 엽저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엽선의 다양한 형태


                                        점첨두                                                                  예두                                                                     급첨두




엽선관련 용어

* 점첨두(漸尖頭, acuminate) : 엽선이 점차 뾰족하여 꼬리와 비슷한 형태
* 예두(銳頭, acute) : 엽신의 끝이 길게 뾰족한 모양보다 짧으며, 그 이루는 각도가 45∼90°를 표현
* 급첨두(急尖頭, mucronate) : 엽선의 끝이 가시 또는 털이 달린 것처럼 급격히 뾰족하면서 긴 형태




 엽연의 다양한 형태


                                              전연                                                                   예거치                                                                  치아상거치



 엽저의 다양한 형태


                                       예저                                                                     왜저                                                                      원저


                                   심장저                                                                   이저                                                                         순형




엽연 및 엽저관련 용어

* 전연(全緣, entire) : 잎 가장자리가 갈라지지 않고 매끄러운 모양 
* 예거치(銳鋸齒, serrate) : 잎 가장자리가 톱니처럼 날카로운 모양
* 치아상거치(齒牙狀鋸齒, dentate) : 잎 가장자리에 치아모양으로 갈라진 모양
* 예저(銳底, acute) : 잎 아랫 부분이 좁아지면서 뾰족해지는 모양 
* 왜저(歪底, oblique) : 잎 아랫 부분의 좌우 양측이 대칭을 이루지 않고 한쪽이 일그러진 모양
* 원저(圓低, rounded) : 잎 아랫 부분이 둥근 모양
* 심장저(心臟底, cordate) : 잎 아랫 부분이 심장모양
* 이저(耳低, auriculate) : 잎 아랫 부분이 사람의 귀 모양
* 순형(盾形, peltate) : 엽병과 잎과 만나는 부분이 엽신의 가운데에 있는 모양



   또한, 엽신이 하나인 경우는 ‘단엽(單葉)’이라고 하며, 엽신이 여러장의 소엽으로 구성된 것을 ‘복엽(複葉)’이라고 합니다. 복엽에서 소엽의 발생한 위치에 따라 정단부에 있는 잎을 ‘정소엽(頂小葉)’이라고 하며 옆에 붙어 있는 소엽을 ‘측소엽(側小葉)’이라고 합니다. 소엽의 배열이 한곳에서 부채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장상복엽(掌狀複葉)이라고 하며, 소엽의 배열이 깃털처럼 양측에 배열된 것을 ‘우상복엽(羽狀複葉)’이라고 합니다. 우상복엽은 정소엽이 하나일 경우 ‘홀수우상복엽(奇數羽狀複葉)’, 두개인 경우 ‘짝수우상복엽(偶數羽狀複葉)’이라고 합니다.






#내손안의_산림청,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