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일 경인일보> 적법한 절차 없이 국유지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은 관계법령에 따른 조치 대상입니다. 9월 1일 경인일보 기사 ☞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00831010006789 국유지서 10년 과수원 일궈온 농민… 수원국유림관리소 "무단 점유" 내쳐 산림청 수원국유림관리소가 국유지를 실질적으로 빌려 10여년간 과수원을 일군 60대 부부와 건물퇴거 법정 다툼을 벌이고 있다.31일 수원국유림관리소 등에 따르면 화성시 장안면 장안리.. www.kyeongin.com 보는 산림청/Forest 이슈 24 2020.09.01
<건강하고 튼튼한 숲 만들기> 내가 바로 채종원이다! 내가 바로 채종원이다! #채종원 으로 놀러온 친구들 안녕! 채집의 '채', 종자의 '종', 과수원의 '원' 그렇다면 채종원은 뭐하는 곳일까요? 그루와 함께 채종원 구경가볼까요? 보는 산림청/톡톡! 인포·카드뉴스 2020.09.01
<Forest News : 2020년 8월> 8월의 포레스트 뉴스 무더위와 긴 장마로 인한 피해가 있었던 8월 8월의 산림청은 어떤 이야기가 있을까요? 영상으로 8월의 산림청을 다시 한번 만나보시죠. 보는 산림청/월간 Forest News 2020.09.01
<제2회 외국인 친화형 숲해설 경연대회> 숲해설도 이제 글로벌하게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인하여 외국인 친화형 숲해설 경연대회를 무관중으로 진행합니다! 그렇다고 못 보면 너무 아쉽겠죠? 그래서 온라인 중계를 진행합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함께 시청해요! 제 2회 외국인 친화형 숲해설 경연대회 8월 28일 13시 양재at센터 온라인 생중계 ▶ https://bj.afreecatv.com/foresto123 afreecaTV 한국숲해설가님의 방송국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bjapi.afreecatv.com 보는 산림청/톡톡! 인포·카드뉴스 2020.08.28
<8월 26일 문화일보> 태양광 시설로 인한 산지재해 우려가 없도록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8월 26일자 문화일보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0082601070503017001 산림 망치는 태양광…토사 유출 방지못해 6700억 피해 허가수명 20년간 연 336억 추정폭우 이어 태풍 겹쳐 피해 가중태양광 발전으로 인한 산림의 토사유출 및 토사.. www.munhwa.com 보는 산림청/Forest 이슈 24 2020.08.27
<8월 21일 TV조선> 산지 태양광 현장점검의 전문성과 정밀성을 높여가겠습니다 8월 21일자 TV조선 보도 ☞ 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8/21/2020082190104.html [단독] "위험 우려 없다"더니…태양광 호우 특별점검, 산사태 난 곳은 누락 [앵커]집중 호우가 이어지던 이달 초, 정부가 산사태 등 피해 예방을 위해 태양광 시설을 긴급 조사했지만 "위험 우려가 없다"는 결론을 .. news.tvchosun.com 보는 산림청/Forest 이슈 24 2020.08.25
산촌 정착의 모든 것! 산촌 지원 정책 길라잡이 모든 일은 마음먹기에 달렸다지만, 무턱대고 산촌으로 떠나는 것은 좋지 않다. 이른바 100세 시대에 이른 만큼 성공적인 인생 2막을 펼치기 위해선 결심보다 필요한 건 단계적인 계획 수립과 철저한 사전 준비다. 물론, 그 과정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때로는 도심 생활에서 이루지 못한 미련이 마저 남아 있을 수도, 경제적인 어려움에 주저하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마련했다. 막연한 귀산촌 계획을 맞춤별, 단계별로 확실 하게 안내해 줄 산촌 지원 정책 가이드. 지금 바로 만나보자. 퇴직 이후 인생이모작을 실현하려 산촌을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철저히 준비한다고는 하지만 여간 난감하다. 생물이 환경의 산물이듯, 도심 생활에 익숙해진 이들에게 산촌은 어디까지나 낯설고 막연한 장소다.. 보는 산림청/Magazine 숲 2020.08.21
끈질긴 여름불청객 칡덩굴, 이제는 잡는다! 매년 여름철이면 산림, 도로, 하천 등지를 뒤덮고 있는 칡덩굴! 하지만 칡덩굴이 교통 시설물을 뒤덮으면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임지에 자라면 다른 나무가 건강하게 생장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필요하다면 제거를 해야 합니다. 그러나 워낙 생장력이 좋아 제거가 쉽지 않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국립산림과학원이 칡덩굴 제거법을 연구했습니다! 칡덩굴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법! 카드뉴스를 통해 함께 보시죠! 보는 산림청/톡톡! 인포·카드뉴스 2020.08.20
<8월 16일 TV조선> 태양광발전으로 인한 산림훼손을 막기위해 노력하겠습니다 8월 16일 TV조선 ☞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8/16/2020081690065.html [단독] 文정부 '태양광 발전'으로 사라진 산림, 여의도 17배 규모 [앵커]최근 집중호우로 산사태가 피해가 크자, 나무를 잘라내고 만든 태양광 시설이 원인이란 지적이 일었었죠.. 숫자로만 보면 그.. news.tvchosun.com 보는 산림청/Forest 이슈 24 2020.08.20
<8월 15일 조선일보> 산림청은 사방사업 추가실시 및 산사태취약지역 확대 지정 등산사태 피해 예방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겠습니다. 8월 15일 조선일보 ☞ 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8/15/2020081500100.html?utm_source=urlcopy&utm_medium=share&utm_campaign=news 큰비 없었다고… 수해예방 예산 8년새 반토막 연간 2조원대였던 수해 예방 예산이 2018년 이후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반 토막이 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1년 서울 우면산 산사태 등 .. news.chosun.com 보는 산림청/Forest 이슈 24 2020.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