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는 산림청 913

<8월 6일 한겨레 보도설명> 산이 무너져도··· 책임 피할 '구멍'만 찾는다

한겨레 기사 -> 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507717 폭우에 산이 무너져도…책임 피할 ‘구멍’만 찾는다 40일이 넘는 긴 장마에 전국 곳곳에서 홍수와 산사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폭우에 20명이 넘는 인명피해가 발생할 정도로 피해가 큰 이유로 ‘도시화’와 ‘허술한 관리’를 � news.naver.com

<8월 4일 JTBC 보도설명> 비만 오면 와르르…걱정거리 된 '태양광'

JTBC "비만 오면 와르르…걱정거리 된 '태양광'" http://news.jtbc.joins.com/html/997/NB11962997.html [밀착카메라] 비만 오면 와르르…걱정거리 된 '태양광' 비 피해 소식 계속 전해드리고 있지요. 특히 갑작스럽게 닥치는 산사태도 문제인데요. 오늘(4일) 밀착카메라는 산 곳곳에 설치된 '.. news.jtbc.joins.com

<8월 3일 KBS 해명기사> '절개지 붕괴', '개발지 붕괴'는 '산사태'가 아닙니다.

관련 보도 ☞ news.kbs.co.kr/news/view.do?ncd=4508639 평택 공장 산사태로 매몰 근로자 3명 사망·1명 중상 중부지방에 집중호우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 평택의 한 공장에 산사태가 나면서 근로자 3명이 숨지... news.kbs.co.kr '절개지 붕괴', '개발지 붕괴'는 '산사태'가 아닙니다. 도로변 또는 공사장 등의 절개지 및 개발지는 산림 형질을 변경한 곳으로 산림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산사태’가 아닌 ‘절개지 붕괴’, '개발지 붕괴'로 보도하는 것이 올바른 용어 사용입니다. (8월 3일 KBS 보도 등에 대한 설명)

<산사태 국민행동요령> 산사태, 대비하면 피할 수 있습니다!

산사태, 대비하면 피할 수 있습니다! 22일(수)부터 시작된 집중호우가 전국적으로 발생되면서 산사태 발생 위험성이 증가했습니다. 그래서 7월 22일 오전 8시 00분을 기준으로 전국의 산사태 위기경보를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 발령되었습니다. 산사태는 막을 수 없으나 대비하면 피할 수 있습니다! 산사태 주의보나 기상청의 호우 특보 등 관련 알림에 귀기울여주시고, 유사 시 긴급재난문자, 안내방송 등에 따라 신속하게 대피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7월 16일 연합뉴스 해명기사> '절개지 붕괴'는 '산사태'가 아닙니다.

관련 기사 ☞ https://www.yna.co.kr/view/PYH20200716044800053?input=1196m 상주서 산사태로 토사 200여t 도로에 쏟아져 | 연합뉴스 상주서 산사태로 토사 200여t 도로에 쏟아져, 박순기기자, 정치뉴스 (송고시간 2020-07-16 10:29) www.yna.co.kr '절개지 붕괴'는 '산사태'가 아닙니다. 도로변 또는 공사장 등의 절개지는 산림 형질을 변경한 곳으로 산림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산사태’가 아닌 ‘절개지 붕괴’로 보도하는 것이 올바른 용어 사용입니다. (7월 16일 연합뉴스 기사에 대한 설명)

<6월 15일 서울신문 해명기사> 매미나방는 나무의 생육에 지장이 없습니다.

관련 기사 ☞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615010021 [단독] 매미나방의 습격… 산이 붉게 변한다 주변 동식물 영향… 퇴치제도 못 써 개체수 급증 땐 도시지역 피해 우려푸르른 녹음을 품고 있어 여름철 대표적인 휴가지로 꼽히는 치악산이 붉게 변하고 있다. 급속도로 늘어난 매미나방 유충 www.seoul.co.kr 관련 기사 ☞ bit.ly/3j4em0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