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원된 '정령치'의 생생한 모습 생태축 백두대간, 복원된 '정령치'의 생생한 모습 역사와 문화가 숨쉬는 백두대간의 옛길 '정령치' 정령치(鄭嶺峙)는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과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을 잇는 옛길로 백두대간 만복대와 북고리봉 사이에 있는 고개입니다. 전라남도 구례에서 곡성을 지나 함양까지 가던.. 읽는 산림청/아하! 궁금한 산림이야기 2016.12.05
역사와 문화가 숨쉬는 '백두대간 옛길' [카드뉴스] 역사와 문화가 숨쉬는 '백두대간 옛길' [카드뉴스] 길은 사람과 사람을 만나게 해줍니다.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것은 지역과 지역이 만나는 것이고, 다시 문화와 문화가 만나는 것입니다. 길은 우리를 서로 연결해 주고 융화시켜 줍니다. 또한 실은 인간이 걸으며 쓰는 역사 입니다. 백두.. 보는 산림청/톡톡! 인포·카드뉴스 2016.11.29
백두대간이 주는 다양한 혜택과 문화이야기 [카드뉴스] 백두대간이 주는 다양한 혜택과 문화이야기 [카드뉴스] 하나, 더 풍요로워진 땅, 백두대간 백두대간 지역주민들의 소득이 향상되고 지역 경제가 활성화되면서 삶의 질도 더 높아졌습니다. 백두대간의 자연적인 가치는 천문학적인 경제창출을 가능하게 해주는 자연의 선물입니다. 소득과.. 보는 산림청/톡톡! 인포·카드뉴스 2016.11.23
한반도의 핵심 생태축 '백두대간' 백두산 장군봉에서 지리산 천왕봉까지 1,400km 한반도의 거대한 산줄기 “백두대간” 4대강을 포함한 하천과 그 지류들의 발원지이기도 합니다. “산은 물을 낳고, 물은 산을 가르지 않는다,” 물길에 의해 산의 흐름이 끊기지 않는 백두대간의 특징입니다. 이는 기존의 산맥체계와 다른 .. 읽는 산림청/아하! 궁금한 산림이야기 2016.11.21
이번주 산림소식 만나보세요~ 11월 2주 산림 NEWS <금주의 산림소식 한눈에 보기! 11월 2주 산림NEWS> 1.산림청, 사방댐 안전관리 위해 무주서 현장토론회 - 사방댐이 1만 여개를 넘어서면서 유지·관리가 중요해짐. 사방댐 현황 분석과 안전관리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됨. 토론회에서 제기된 의견을 적극 수렴, 관련 매뉴얼을 정비.. 카테고리 없음 2016.11.11
산림청, 제3차 백두대간 자원실태조사 ‘착착’ 산림청, 제3차 백두대간 자원실태조사 ‘착착’ - 올해부터 5년간... 23일 공주대서 1차 년도 중간보고회 - 산림청은 제3차 백두대간 자원실태조사가 현재 적극 추진되고 있으며 올해부터 5년간 진행됩니다. * 백두대간 : 백두산에서 시작해 금강산, 설악산, 태백산, 소백산을 거쳐 지리산으..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6.09.22
백두대간 등산로 체계적 관리·휴식년제로 훼손 막는다. 백두대간 등산로 체계적 관리·휴식년제로 훼손 막는다 - 산림청, '백두대간 마루금 보전·관리 대책' 수립·발표 - 등산객 증가로 몸살을 앓고 있는 백두대간 등산로에 대해 앞으로 정기적인 실태 조사와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질 전망입니다. 또한, 등산로 보호와 주변 산림생태계 회복..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6.08.10
산림청, 청소년 백두대간 산림생태 탐방 실시 산림청, 청소년 백두대간 산림생태 탐방 실시 - 7월 30일~8월 4일 10개 권역서 중·고등학생 250명 대상 - 산림청은 7월 30일부터 8월 4일까지 중·고등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제16회 청소년 백두대간 산림생태 탐방’을 실시합니다. 산림청이 주최하고 한국등산·트레킹지원센터, 한국산악..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6.07.21
산림청, 백두대간 생태정보 국민에 공개 산림청, 백두대간 생태정보 국민에 공개 - 제2차 실태조사(’11년~’15년) 결과 보고서, 홈페이지에 올려 - 한반도 핵심생태축인 백두대간의 동·식물, 생태계 등 자원실태 정보가 국민에 공개되었습니다. * 백두대간 : 백두산에서 시작해 금강산, 설악산, 태백산, 소백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6.07.13
김천 바람재 등 30곳, 백두대간 보호지역으로 지정 김천 바람재 등 30곳, 백두대간 보호지역으로 지정 - 산림청, 확대 지정 고시... 여의도 2배 면적 추가 보호 - 한반도 핵심 생태축인 백두대간 보호지역이 확대됩니다. (* 백두대간: 백두산에서 시작해 금강산, 설악산, 태백산, 소백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큰 산줄기로 총 길이는 1400k..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6.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