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봅시다> 백합나무 바이오순환림 이란? <알아봅시다> 백합나무 바이오순환림 이란? ‘백합나무 바이오순환림’이란 무엇인가요? 백합나무의 학명은 Liriodendro tulipifera이고 영명은 yellow poplar, tulip tree입니다. 국내 공식명칭은 백합나무이며, 튤립나무, 목백합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 백합나무는 다양한 기후와 토양조건에.. 읽는 산림청/아하! 궁금한 산림이야기 2016.05.18
바이오순환림 '백합나무' 묘목 대량생산·보급 바이오순환림 백합나무 묘목 대랑생산·보급 백합나무 연구 성과 현지 연찬회·세미나, 산림자원육성부에서 개최 기후변화 대응 밀원수종인 백합나무 연구가 꾸준한 진척을 보이고 있습니다. '백합나무(Liriodendron tulipifera)'는 북미지역이 원산으로 생장이 빠르며 병충해에 강한 특성을 ..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3.10.10
아까시꿀 생산감소 백합나무꿀로 해결한다! 아까시꿀 생산감소 백합나무꿀로 해결한다! 산림과학원, 아까시 대안으로 백합나무 추천…오래 피고 품질도 좋아 백합나무가 아까시나무의 벌꿀 생산량 감소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생산량이 급격히 줄어든 아까시나무의 대..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2.06.04
백합나무 종자부족 해결 할 양묘법 개발 백합나무 종자부족 해결 할 양묘법 개발 산림과학원, 가을파종법으로 발아율 2배 높여…바이오순환림 조성 청신호 산림바이오순환림의 핵심수종으로 꼽히는 백합나무를 대량으로 길러낼 수 있는 양묘기법이 개발됐습니다. 새로운 백합나무 양묘기법은 기존 양묘방법보다 발아율을 최..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2.05.24
체세포배 복제기술로 만든 우량 백합나무 대량보급 체세포배 복제기술로 만든 우량 백합나무 대량보급 - 우수개체 인공교배해 줄기세포 대량복제 성공…CO2흡수량 획기적으로 높여 - 기후변화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대량 흡수할 수 있는 우량 백합나무가 산림청(청장 정광수)이 개발한 체세포배(體細胞胚) 복제기술에 의해 대량 생산돼 보급됩니다. 산림..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0.09.09
"이젠 더 가치있는 산림조성에 힘쓸 때" "이젠 더 가치있는 산림조성에 힘쓸 때" - 산림청, 전국 산림자원 조성 전문가·공무원과 이틀간 산림자원 워크숍 - 전국의 산림자원 조성 전문가와 공무원들이 모여 앞으로의 산림자원 정책을 논의하고 현장 기술을 서로 교류하는 산림자원 조성을 위한 워크숍이 26일부터 열립니다. 산림청(청장 정광..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0.08.26
이제 산림도 클론 시대! 이제 산림도 클론 시대! - 산림청, 백합나무 클론생산 현장토론회 개최 - 5월 12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경기 수원 소재)에서 산림청 관계자를 비롯하여 전국 시도 산림공무원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바이오순환림 조성을 위한 백합나무 클론생산 현장토론회를 개최했었습니다. 이번 토..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0.06.07
산림청, 산림산업 핵심수종으로 백합나무 집중 육성한다 목재로서 재질이 좋고 바이오매스(biomass) 자원으로도 각광 받고 있는 백합나무가 앞으로 우리나라 산림산업의 핵심수종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산림청(청장 서승진)은 과거 산림녹화시기에 전국 산림에 대규모로 식재된 리기다소나무가 노령화되어 갱신중인 가운데 그 대체 수종으로 속성수이면서.. 읽는 산림청/E-숲 news 2007.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