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st 소셜 기자단 -/2014년(5기)

조각가가 생각하는 나무의 모습은 이런 모습일까?

대한민국 산림청 2014. 2. 18. 11:30

 

조각가가 생각하는

나무의 모습은 이런 모습일까? 

 

 

산림청 블로그 일반인 기자단 김대환 

 

 

  

 

 나무를 주제로 하는 환경조형물 두 작품이 있다.
하나는 청량리 역전에 있는 작품이고, 다른 하나는 경기도 가평 대성리에 있는 작품이다.

이 두 작품은 소재 및 위치는 다르나 나무라는 소재를 활용하여 만들어진 작품으로서 이 작품을 통해서 작가들이 무엇을 말하고 싶어 했는지 이제부터 알아보겠다.

 

 

 

 

도심의 어지러움속에 반가운 나무형태의 모습이 보인다.

은빛나무가 떼로 설치되어 있는 이 조형물은 2010년 7월에 서울 청량리역사가 리모델링을 하였을 때 설치된 작품이다. 나라에서는 문화예술진흥법을 만들어서 일정 규모이상의 건축물설립시 건축비용의 1%이하의 범위에서 회화,조각,공예 등 미술작품 설치에 투자를 강제(제9조)하고 있는데, 그 일환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청량리역전 광장 한무리의 나무조형물이 숲을 이루고 있다. 이 나무조형물 작품의 작가는 이재효이다.

이재효작가는 1992년 홍익대 조소과를 졸업하여 자연의 소재를 이용하여 매우 왕성한 작품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이다. 미술평론가인 조소영씨는 이재효작가에 대하여 이렇게 얘기하였다. “이재효는 항상 어떤 것을 발견하는 시도를 끊임없이 추구하는 아티스트 중 한 사람이다. 다른 사람들이 그저 돌과 나뭇가지를 ‘보는 것’에 반해 그는 그것들을 찾아다니며 ‘발견’하는 것이다. 그는 너무도 자연스러운 두가지 주제와 소재를 자연스럽지 않게 조합하는데에 능숙하다.”라고 평가하였다.


▼ 작가 및 작품에 대하여 더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작가 홈페이지에 들어가시기 바란다.
이재효 작가 개인홈페이지 http://www.leeart.name

 

 

 

 

작품을 가까이 가서 본 모습이다. 작품의 소재는 스텐레스스틸이며, 수간 및 줄기를 직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부제끼리의 접합부를 용접처리하였는데, 용접부가 겉으로 드러나도록 하여서 이 또한 패턴 혹은 질감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표면에 마치 사포질한듯이 거친질감을 주어서 나무의 줄기를 표현하고 있다. 작품의 색이나, 줄기의 거친 질감 등이 양버즘나무인 플라타너스를 표현하는 것 같다. 

 

 

 

 

언제나 그렇듯 미술작품들의 설명은 이해하기 어렵다. 작가의 작품설명을 통하여 작품의 뜻을 유추해보면 15개의 나무조형물은 매우 단순 간결한 특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부채꼴 모양의 형태로 배치하여 도시속에서 자연이 아닌 인공물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숲속을 거니는 듯한 느낌을 받도록 하였다고 한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하여 도심속에서 자기의 작품을 통하여 자연을 느끼게 하고 싶었나 보다.

 

작품의 제목은 0121-1110=110081인데, 이 뜻을 해석하면
01   → 이
21-1 → 재
110=1 → 효(숫자를 옆으로 보면 이렇게 보입니다.)
나머지 10081는 작품번호이다.

 

 

 

 

하늘이 푸르러야 하는데, 겨울하늘이 너무 을씨년스럽다. 작가가 바라는 자연을 느낄 수 있을까 해서 하늘을 배경으로 작품을 바라보았다. 매우 바쁘고 무표정한 도심을 표현하듯이 하늘과 작품 모두 무채색을 하고 있었다. 진짜 나무의 초록색보다는 햇빛에 반짝이는 은색 나무가 무언가 컬트적인 느낌이 들었다.

 

 

두 번째 보는 나무조형물은 경춘가도인 46번국도 대성리입구에 서있는 조형물이다.
이 조형물은 가평군에서 2009년 11월에 설치하였다. ‘안녕히 가세요’라고 빙긋 웃는 해치상이 서울의 경계에 서있듯 이 작품도 가평군의 초입인 대성리입구에서 ‘어서오세요 여기부터는 가평군입니다’라는 느낌이 드는 장소에 서있었다.

 

 

 

 

동파이프를 잘라서, 타원형으로 누르고 이를 용접하여 붙인 작품으로서, 비어 있지만 비어있지 않은 특색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의 작가는 이길래작가이다.

 

이길래 작가의 작품특징은 한마디로 조각이면서 회화적인 느낌을 주는데 있다. 동파이프를 자르고 이를 이어 붙여 형태를 만들다 보니 윤곽은 돋보이면서도 속은 비어있는 형태가 되어 3차원입체를 2차원의 윤곽으로 보이게 했다. 이러한 요소들이 한국화의 특징인 여백의 절제된 미를 구현하게 되어서 회화적인 조각물이라는 부제가 생겨나게 했다.

 

 

 

 

제발 작품에 저런 장난은 하지 않았으면 한다. 위 사진에서 보듯이 하나하나의 원이 수간의 결처럼 보이게 하고 있고, 이러한 원들이 모여서 거친 질감을 만들어내고 있다. 대단한 정성과 인내를 요구하는 작업이라 생각되며, 정성도 정성이지만 저 하나하나를 용접하면서 붙였다는 것에 경의를 표하게 된다. 이 작품의 제목은 대대손손(代代孫孫)으로서 작품설명표시석에는 아래와 같이 쓰여 있다.

 

가평군의 청정 자연환경과 소중한 지역가치의 과거와 현재를 잇고, 새롭게 다가올 미래와 보다 나은 지역 삶으로의 계승발전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작품에서도 설명은 난해했다. 이렇게 난해한 설명은 작가의 작품에 대한 변(辯)이라기 보다는 가평군이 이 조형물에 기대하는 의미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차라리 이러 설명보다는 작가의 약력이나 이 조형물의 형태가 왜 이렇게 되었는지 혹은 작품을 창작하는 과정이 있었으면 훨씬 효과적이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파란하늘과 조각물이 대비를 이루고 있다. 이길래 작가는 소나무작가라고 불리울 정도로 소나무작품이 많은 편이다. 이 작품의 질감은 소나무처럼 보이나 줄기의 형태로 보아서는 어떤 특정나무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지는 않다. 이길래 작가는 이러한 작품들을 만들면서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다.

 

생명이나 물체가 분해되면 그 기능이 소멸되듯이, 세포나 파편이 응집되면 유기체적 생명력을 유지하게 된다. 수많은 동파이프 단면들이 물성화 과정을 통하여 영원히 죽지 않는 소나무를 만들고, 나는 이 땅위에 식수(植樹)해 나아가고 싶다. 이것이 내가 자연을 사랑하는 방법이며 그 일부인 내 자신을 사랑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끝으로 나의 영원한 스승인 자연에 대해 경의를 표한다.

Art Museum(www.artmuseums.kr/)에서

 

 

 

  

 

두 개의 나무를 소재로 하는 작품들을 감상하면서 하나의 공통된 주제단어가 표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단어는 ‘미래’이다.


이재효 작가의 작품에서는 ‘이 숲속에서 미래를 꿈 꿀 수 있기를 바란다.’였고, 이길래 작가의 작품에서는 ‘새롭게 다가올 미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라고 쓰여 있다.

 

두 조각가에게는 나무는 미래라는 의미로 다가왔나 보다.
왜 나무와 미래가 연관되는 것일까? 이러한 물음은 몇해 전. 정확히 말하면 2011년 세계 산림의 해를 맞아서 산림청에서 슬로건으로 내세운 ‘숲이 미래다’라는 말에서 답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였다.


 

현재의 숲이 과거의 세대들이 준비한 선물이듯이 미래의 숲은 현재의 세대가 가꾸고 보존해야 된다는 이치와 맞추어 보면 되기 때문일 것이다. 이렇듯 조각가도, 일반인도 같은 생각을 하는 것을 보니 ‘나무는 미래다’라는 주제는 아마도 매우 보편타당한 명제일 것이다.

  

    

 

산림청의 소리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공감이 되셨다면 VIEW를! 가져가고 싶은 정보라면 스크랩을! 나도 한 마디를 원하시면 댓글을!
여러분의 의견을 모아서 정책에 반영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Follow me 친해지면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