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미세먼지, 기후변화 등에 대한 관심이 높은데요? 미세먼지를 줄이고 우리 건강에 도움을 주고 좋은 성분을 많이 가지고 있는 ‘편백’과 ‘화백’이 있습니다. 두 수종은 생김새가 비슷해 구분하기 참 어렵다고 생각하는데요. 몇 가지 팁(Tip)만 있으면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편백과 화백은 두 수종 다 측백나무과(Cupressaceae) 편백속(Chamaecyparis) 나무입니다. 편백은 추위에 약해 주로 남부지방 및 제주도에 심을 수 있고 건조하고 척박한 곳에서 잘 견디는 장점이 있습니다. 화백은 생장속도가 빠르고 추위에 강해 편백 보다 훨씬 북쪽에서 자랄 수 있고, 침엽수 중에는 아황산가스나 일산화탄소에 대한 저항성이 가장 강한 수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편백 수형 화백 수형
편백과 화백은 비슷하게 생겼지만 잎과 기공선 모양, 열매 크기와 모양으로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구분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잎과 기공선 모양으로 구분법
편백은 잎 끝이 둔한 둥근 모양이면서 잎 뒤에 Y자 모양의 하얀 기공선이 있고, 화백은 잎 끝이 뾰족하면서 잎 뒤에 W자 모양의 하얀 기공선이 있어 구분할 수 있습니다.
잎 모양 : 편백(좌), 화백(우)
편백 잎 기공선(Y) 화백 잎 기공선(W)
열매의 크기와 모양으로 구분법
편백 열매는 10~14mm 정도의 크기고 바람이 꽉 찬 축구공 모양인 반면, 화백 열매는 6~8mm 정도의 크기고 바람이 빠진 축구공 모양으로 차이가 납니다.
열매 모양 : 편백(좌), 화백(우)
또한, 편백과 화백은 잎과 열매에서 분리한 정유에서는 사람의 피로회복을 촉진시키는 알파피넨(α-Pinene)성분이 다량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우리의 건강에도 도움을 주는 나무들입니다.
힐링과 공익적 가치를 주는 편백과 화백의 구분 방법이었습니다.
#내손안의_산림청,GO!
'읽는 산림청 > 아하! 궁금한 산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산에 많이 심는 나무 씨앗은 무엇일까요? -침엽수편 (0) | 2019.11.22 |
---|---|
어렵게만 느껴지는 버섯 학명을 알아볼까요? (0) | 2019.09.17 |
산림용 종자 수입요건확인 신청절차를 안내합니다! (0) | 2019.07.31 |
<궁금한 산림이야기> 왜, 여름엔 흰꽃 나무들이 많을까? (0) | 2019.06.26 |
<아하 Q&A> 산악지역에서 관측한 기상정보는 어떻게 활용될까 (0) | 2018.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