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정광수)은 진주시 명석면 신기리 동전마을 일대에 국부적으로 발생한 해충이
암청색줄무늬밤나방인 것으로 확인하고 이 해충에 대한 생태 및 방제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갑자기 발생한 벌레떼는 좀깨잎나무, 닥나무 등을 가해하고 일부개체가 마을 주택가에 까지 침입하여 주민에게 혐오감을 주었다.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에서는 현장을 방문하여 피해실태와 해충을 채집하여 정밀검사한 결과, 이 해충이 밤나방과의 암청색줄무늬밤나방임을 확인하였다.
암청색줄무늬밤나방은 좀깨잎나무나 닥나무를 주로 가해하였고 국부적으로 대발생하였으나 타 수종이나 농작물에는 피해가 없었으며 농가주택 주변에 출현한 것은 기주식물인 닥나무가 농가 울타리에 있어 가해 후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발생한 현상으로 밝혀졌다.
이에 국립산림과학원은 진주시에 방제법(디프수화제, 메프수화제 살포)을 제시하여 방제작업에 돌입한 상태이다.
갑자기 발생한 벌레떼는 좀깨잎나무, 닥나무 등을 가해하고 일부개체가 마을 주택가에 까지 침입하여 주민에게 혐오감을 주었다.
암청색줄무늬밤나방 가해 현장 |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에서는 현장을 방문하여 피해실태와 해충을 채집하여 정밀검사한 결과, 이 해충이 밤나방과의 암청색줄무늬밤나방임을 확인하였다.
암청색줄무늬밤나방은 좀깨잎나무나 닥나무를 주로 가해하였고 국부적으로 대발생하였으나 타 수종이나 농작물에는 피해가 없었으며 농가주택 주변에 출현한 것은 기주식물인 닥나무가 농가 울타리에 있어 가해 후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발생한 현상으로 밝혀졌다.
진주발생, 암청색줄무늬밤나방 |
이에 국립산림과학원은 진주시에 방제법(디프수화제, 메프수화제 살포)을 제시하여 방제작업에 돌입한 상태이다.
'읽는 산림청 > E-숲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숲에서 되찾는 가족간의 사랑 (0) | 2006.09.01 |
---|---|
국립산림과학원, 5년 연속 최우수기관상 수상 (0) | 2006.09.01 |
상시 학습문화 정착을 위한 전문가 강의 청취 (0) | 2006.09.01 |
퇴비 생산으로 양묘장 지력 향상 기대~~ (0) | 2006.09.01 |
국립산림과학원, 2006년도 『산림과학기술개발 실수·실책사례 발표대회』개최 (0) | 2006.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