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목원은 10일 울릉도에서 멸종 위기 식물인 '섬시호' 자생지를 복원했다.
수목원 연구팀은 지난 2000년 6월 울릉도에서 섬시호 개체 일부를 발견, 종자를 수집해 6년간 100여본 증식에 성공', 이날 40여본을 울릉도에 옮겨 심었다. 섬시호 Bupleurum latissimum Nakai)는 1916년 세계에서 유일하게 울릉도에서 발견된 희귀 식물로 1966년 이후 국내에서 자취를 감춘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보존 우선 식물'로 산림청이 지정하고 있는 300여종 가운데 69위이며 표본은 보존돼 있으나 유일한 자생지인 울릉도에서 34년 동안이나 발견되지 않았다.
섬시호는 다양한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활용 가치가 무궁무진한 식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함께 수목원은 울릉도가 자생지이면서 30-40 개체만 남아있는 현삼과(科)
의 '섬현삼' 보호 자생지도 조성했다.
국립수목원 정재민 박사는 "섬시호가 울릉도에서 사라진다면 지구상에서 이 식물을 다시는 볼 수 없게 돼 이번 복원이 큰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문의 : 국립수목원 식물보전과 김재현(031-540-1057)
수목원 연구팀은 지난 2000년 6월 울릉도에서 섬시호 개체 일부를 발견, 종자를 수집해 6년간 100여본 증식에 성공', 이날 40여본을 울릉도에 옮겨 심었다. 섬시호 Bupleurum latissimum Nakai)는 1916년 세계에서 유일하게 울릉도에서 발견된 희귀 식물로 1966년 이후 국내에서 자취를 감춘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보존 우선 식물'로 산림청이 지정하고 있는 300여종 가운데 69위이며 표본은 보존돼 있으나 유일한 자생지인 울릉도에서 34년 동안이나 발견되지 않았다.
섬시호는 다양한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활용 가치가 무궁무진한 식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함께 수목원은 울릉도가 자생지이면서 30-40 개체만 남아있는 현삼과(科)
의 '섬현삼' 보호 자생지도 조성했다.
국립수목원 정재민 박사는 "섬시호가 울릉도에서 사라진다면 지구상에서 이 식물을 다시는 볼 수 없게 돼 이번 복원이 큰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문의 : 국립수목원 식물보전과 김재현(031-540-1057)
'읽는 산림청 > E-숲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수하늘소 광릉 숲에서 모습 보이다 (0) | 2006.09.01 |
---|---|
보기 힘든 식물 사진으로 보세요 (0) | 2006.09.01 |
국내에서 가장 큰 싸리나무 발견 (0) | 2006.09.01 |
현장체험 통한 직원화합 및 현장중심연구 활성화 (0) | 2006.09.01 |
홈페이지「문패 만들기!」 공모 (0) | 2006.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