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 도시 열섬현상을 해결하는 도시숲 '카드뉴스' 지구온난화에 따른 열섬현상을 해결하는 '도시숲' 주요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한국 도시숲의 현황을 알리고, 도시숲의 중요성과 효과를 알려드립니다. * 열섬현상 : 일반적인 다른 지역보다 도심의 온도가 높게 나타나는 현상 산림청의 소리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공감이 .. 보는 산림청/톡톡! 인포·카드뉴스 2016.08.19
한 여름 내내 꽃을 피우는 나무 '배롱나무' 한 여름 내내 꽃을 피우는 나무 '배롱나무' 여름철 무더위에도 붉은 꽃이 백 일을 간다고 해서 ‘백일홍(百日紅)’이라 합니다. 초본식물 백일홍과 구별하여 ‘목백일홍(나무백일홍)’이라고도 부릅니다. 원래는 ‘배기롱나무’로 부르다가 세월이 지나면서 배롱나무가 되었습니다. 대.. 보는 산림청/Magazine 숲 2016.08.18
약초로 활용하는 '참나리' 약초로 활용하는 '참나리' 신록이 우거진 산천에 유독 주황빛으로 빛나는 산약초가 있습니다. 나리 중에서도 최고로 여긴다는 ‘참나리’가 바로 그것. 무엇보다 참나리는 다른 나리들에 비해 길쭉길쭉하니 키가 큽니다. 다 자란 키가 1m를 훌쩍 넘는다고 하니, 단연 나리들 중 최고입니.. 보는 산림청/Magazine 숲 2016.08.17
임산물로 만드는 여름 보양식 '구기자와 산마' 임산물로 만드는 여름 보양식 '구기자와 산마' 가만히 있어도 이마에 땀은 송글송글 맺히고 조금만 걸어도 기운마저 쭉쭉 빠지는 이 한여름. 무엇보다 먹는 것이 힘!이다. 우리 임산물로 즐기는 여름 보양식! 구기자 떡 수단 요리 TIP : 구기자의 향을 더 진하게 내고 싶다면, 찹쌀경단반죽.. 보는 산림청/Magazine 숲 2016.08.16
다육이, 어떤 걸 기를까? 이름은 하나이지만 종류는 만 가지에 달합니다. 종류는 많으나 기르기가 무척 쉬워 초보자에게도 각광받는 식물이 다육입니다. 관리가 어려울 것 같아 단 하나의 식물조차 키운 경험이 없다면, 다육으로 ‘반려식물’ 시작해 보세요. 삭막했던 공간이 식물의 따스한 온기로 가득해질 것.. 보는 산림청/Magazine 숲 2016.08.11
(카드뉴스) 숲에서 즐기는 힐링이 있어 여름이 더 좋다! 숲에서 즐기는 힐링이 있어 여름이 더 좋다! 테마별로 만나보는 '국립자연휴양림' 산림청의 소리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공감이 되셨다면 VIEW를! 가져가고 싶은 정보라면 스크랩을! 나도 한 마디를 원하시면 댓글을! 여러분의 의견을 모아서 정책에 반영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Follo.. 보는 산림청/톡톡! 인포·카드뉴스 2016.08.10
치유의 숲 숲속힐링으로 여름나기 (카드뉴스) 숲이 주는 휴식이 있어 여름이 더 좋다! 치유의 숲 숲속힐링으로 여름나기, 숲으로 시원한 여름힐링 떠나요, 숲에서 즐기는 휴식 ◆ 가평 잣향기 푸른숲 잣향기 푸른숲은 축령산과 서리산 자락 해발 450~600m에 수령 80년 이상된 잣나무숲이 153ha 규모로 분포하는 지역에 위치, 숲속명상, 기.. 보는 산림청/톡톡! 인포·카드뉴스 2016.08.03
모르면 손해~ 스마트한 여름휴가 정보 모았어요! 모르면 손해~ 스마트한 여름휴가 정보 모았어요. 스마트한 정부3.0 국내여행 정보 TIP ♣ 치유의숲 : 산림치유지도사와 함께 하는 숲속 힐링~ 청태산, 잣향기, 용궐산, 정남진 편백 숲 등 6곳 운영 ♣ 웰촌포털 : 농촌체험여행 정보 총망라~ ♣ 바다여행포털 : 해양레포츠, 어촌체험, 캠핑 등 .. 보는 산림청/톡톡! 인포·카드뉴스 2016.07.28
여름방학! 아이들에게 숲을 선물하세요~ 여름방학! 아이들에게 숲을 선물하세요~ 국립수목원에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산림생태 교육을 진행! 더불어 직업 체험까지 가능한 '산림생태학교' , '식물 세밀화 교실' 운영 도심속에서 숲을 접해보는 '홍릉숲 투어 프로그램' 가족과 함께 숲길을 걸으며 힐링할 수 있는 금강소.. 보는 산림청/톡톡! 인포·카드뉴스 2016.07.27
좋은 관심, 좋은실천! 국민과 함께 똑똑한 산불예방 좋은 관심, 좋은실천! 국민과 함께 똑똑한 산불예방 순식간에 모든걸 앗아가는 산불! 오랜 시간 가꾼 숲을 잿더미로 만들어 그 피해가 막대한데요, 사전 예방이 무엇도다 중요하답니다. 2016년 상반기 산불 발생 통계에 따르면 산불의 주요 원인인 입산자 실화가 현저히 감소하였는데요, .. 보는 산림청/톡톡! 인포·카드뉴스 2016.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