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토 기타야마의 삼나무 인공림 # 교토 기타야마의 삼나무 인공림 글 · 사진 / 국립산림과학원 배상원 기타야마 지역은 도쿄 중심에서 북동쪽으로 20∼3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역 한가운데로 물이 흐르고 가파른 사면에 삼나무를 키우고 있다. 내장 특용재 및 정원수 생산을 위해 삼나무를 키우는 곳이다. 특히, 다실(茶.. 즐기는 산림청/해외 숲을 가다! 2009.10.22
북백두지역의 사스레나무와 침엽수 원시림 # 북백두지역의 사스레나무와 침엽수 원시림 글 · 사진 / 국립산림과학원 배상원 북백두지역의 숲은 해발고가 높기 때문에 사스레나무, 자작나무, 황철나무, 가문비나무, 분비나무, 낙엽송, 잣나무 등 한정된 수종들이 주로 자라지만 숲의 구조는 자연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숲의 자연천이과정이 .. 즐기는 산림청/해외 숲을 가다! 2009.10.22
캐나다 록키의 루이스 호수와 침엽수림 # 캐나다 록키의 루이스 호수와 침엽수림 글 · 사진 / 국립산림과학원 배상원 캐나다 록키 산맥의 벤프 국립공원에 위치한 루이스 호수는 해발 1,500m가 넘는 곳에 자리를 잡고 있으며 골짜기 쪽을 제외한 삼면이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져 있고, 호수 위쪽으로는 빅토리아 빙하가 자리를 잡고 있다. 호수.. 즐기는 산림청/해외 숲을 가다! 2009.10.22
라인 강변의 뒤셀도르프(Duesseldorf) 도시숲 # 라인 강변의 뒤셀도르프(Duesseldorf) 도시숲 글 · 사진 / 국립산림과학원 배상원 도심 속의 공원과 더불어 뒤셀도르프 시민들이 즐겨 찾는 곳인 도시림은 그 면적이 2,180ha로 대부분 시유림으로 활엽수가 숲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뒤셀도르프의 도시숲은 시민들에게 휴양공간을 제공하고, 도.. 즐기는 산림청/해외 숲을 가다! 2009.10.22
금강봄맞이 앵초과 Androsace cortusaefolia Nakai 분포 : 설악산, 금강산 특징 : 다년생 초본. 옹달 암벽에서 자라는 근경이 짧고 모든 잎이 뿌리에서 나온다. 잎은 7~11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세 개로 갈라지거나 톱니가 잇고 또는 밋밋하다.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없고 뒷면은 색이 연하거나 흰빛이 돈다. 꽃은 6월에 피고 .. 즐기는 산림청/해외 숲을 가다! 2009.10.22
백두산 수목한계지역의 숲 # 백두산 수목한계지역의 숲 글 · 사진 / 국립산림과학원 배상원 백두산지역 고산지대 해발 2,000m 이상에서는 고산 야생화, 만병초 등이 자리를 잡고 있고, 해발 1,900m 지대는 수목한계선이 형성되어 사스레나무가 주수종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해발이 낮아짐에 따라 가문비나무, 분비나무, 잣나무, 잎.. 즐기는 산림청/해외 숲을 가다! 2009.10.22
캐나다 로키 산맥의 수목한계림 # 캐나다 로키 산맥의 수목한계림 글 · 사진 / 국립산림과학원 배상원 산 정상부터 계곡부까지 이어지는 한계림지역의 모습은, U자형으로 파인 계곡의 중심에는 가문비나무·전나무가 혼효된 침엽수림이 가는 형태로 줄을 지어 자라고, 산록부에는 숲의 형태를 유지하며 중간 중간에 빈자리가 있다. .. 즐기는 산림청/해외 숲을 가다! 2009.10.22
사철 푸르고 건강한 잎새 [송악] 사철 푸르고 건강한 잎새 [송악] 아이비(Ivy)라고 하면 아는 이가 많다. 집집마다 화분 한 두개쯤은 가지고 있을 아이비. 분에 담아 매달아 두면 사시사철 푸른 삼각진 잎이 덩굴에 늘어져 보기 좋을 뿐 아니라 그리 특별한 관리 없이도 잘 자라고, 줄기가 땅에 닿으면 뿌리를 내려 다시 새로운 개체로 불..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22
초여름 꽃, 한겨울 과실로 익다 [겨울딸기] 초여름 꽃, 한겨울 과실로 익다 [겨울딸기] 겨울딸기라 하면, 지금 한창 과일가게에 쏟아져 나오는 딸기 생각을 할 터이다. 딸기야 봄에 먹는 과일이려니 싶었는데 요즈음 정말 철이 없는 듯하다. 봄이 무르익고 날씨가 한창 화창해질 즈음이면 학교생활도 익숙해지고 선배들은 딸기밭 미팅이란 것을 ..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22
늘 푸른 저이, 우리 소나무의 자존심 [금강소나무] 늘 푸른 저이, 우리 소나무의 자존심 [금강소나무] 막연히 겨울이면 눈을 기다렸는데, 한 번 시작한 눈은 왜 이렇게 끝도 없이 많이 오는 걸까. 지구에 정말 심각한 문제라도 생긴 걸까. 내게 구체적으로 어떤 필요가 될지, 깊이 있는 학술적 가치가 얼마 만큼인지 가늠하기 쉽지 않았어도, 우리의 연구..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