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민 여론 수렴해 벌채제도 개선 산림청, 국민 여론 수렴해 벌채제도 개선 - 27일,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벌채제도 개선 공청회 열어 - - 오는 10월까지 벌채 관련 규정 마련해 제도개선 추진 - 산림청은 오는 10월까지 벌채 관련 규정을 마련하고 제도개선을 추진합니다 이를 위해 27일 국립산림과학원 국제회의실에서 벌채제..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5.05.27
산림청, 친환경 나무베기 해 산림생태계 보전 앞장 산림청, 친환경 나무베기 해 산림생태계 보전 앞장 - 벌채지역 중장기 점검 위해 5개소 시험지 설치하고 비교 운영 - - 23일, 벌채제도 개선 위한 전문가 현장 토론회에서 개선 방안 마련 - 산림청이 친환경벌채(伐採, 나무베기) 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산림생태계 보전과 경관유지를 위..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5.04.23
목재이용 활성화, 49년 만에 임목벌채 수령기준 완화 목재이용 활성화, 49년 만에 임목벌채 수령기준 완화 - 산림자원법 시행규칙 개정, 목재산업 활성화 기대 - 산림청(청장 신원섭)은 임목의 벌채 수령 기준(기준벌기령*)을 낮추고, 굴취 대상을 확대하는 등 산림규제를 완화하는 내용으로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읽는 산림청/생생! 산림정보 2014.09.24
'불법 벌채목재 유통금지 제도' 전문가 간담회 불법 벌채목재 유통금지 제도 전문가 간담회 목재 합법성 조사제도 도입 기반 마련 기대 산림청은 한국임업진흥원에서 불법 벌채목재 유통 금지제도에 대한 전문가 초청 간담회를 22일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간담회는 그동안 우리나라가 실시한 연구, 그리고 현재 구상중인 온라..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4.07.22
REDD를 아시나요? REDD를 아시나요? 산림청 대학생 기자단 / 이상훈 안녕하세요. 산림청 블로그 기자 이상훈입니다. 산림이 인류에게 제공하는 것들은 매우 많습니다. 그 중에서도 우리는 기본적으로 삶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들을 산림에서 얻고 있습니다. 그래서 산림벌채는 인류 삶에 있어.. Forest 소셜 기자단 -/2011년(2기) 2011.11.22
올 목재자급률 15%까지 올린다 올 목재자급률 15%까지 올린다 국내재 420만㎥공급계획 "벌채·산물수집 예산확대…신규투자도 늘릴것" 산림청(청장 이돈구)은 올해 국내에서 필요한 목재 중 국산재 공급을 지난해보다 늘려 목재 자급률을 15%까지 높일 계획입니다. 산림청이 파악한 올해 우리나라의 목재 총 수요는 2799만6000㎥. 이 중 ..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1.02.18
GPS보급으로 산림사업 첨단화한다 GPS보급으로 산림사업 첨단화한다 3년간 산림조합 142곳에 공급키로…"경계확인 쉬워져 민원도 예방" 산림청(청장 정광수)은 2013년까지 3년간 연차적으로 142개 전 지역산림조합에 모두 12억8000여만원을 들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비 1대씩을 보급하기로 하고 우선 47개 조합에 내년 예산 4억2300만원을..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0.10.01
산림청, 친환경 벌채제도 5일부터 시행 산림청, 친환경 벌채제도 5일부터 시행 - 벌채때 일부 나무 남겨 경관유지·재해예방…ha당 50그루 이상 남겨야 - 숲에서 다 자란 나무를 벨 때 한그루도 남김없이 베어내는 탓에 벌채지가 그대로 드러나 경관을 해치고 풍수해와 산사태에 취약해지는 일이 앞으로는 사라지게 될 전망입니다. 산림청이 5..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0.08.04
"보안림?", "아하! 산림보호구역!" "보안림?", 아하! "산림보호구역!" 산림청 대학생 블로그 / 임승인 전라남도 산림환경연구소 카페, 2007. 8. 16 산림행정용어. 무언가 딱딱하고 어려운 느낌이 든다. 그도 그럴 것이 대부분이 한자투나 일본어식으로 만들어져 있다.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들에게 문제를 하나 내도록 하겠다. 1. 하예 2. 치.. Forest 소셜 기자단 -/2010년(1기) 2010.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