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을 더 푸르게 더 건강하게! 숲 가꾸기 사업 숲가꾸기 사업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 인공조림지나 천연림에 대한 숲의 생육단계별 조림지가꾸기, 가지치기, 어린나무가꾸기, 솎아베기 등과 같은 작업으로 숲을 키우는 것을 말합니다. 숲가꾸기 사업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조림지가꾸기는 나무 심기(조림) 후 1∼5년까.. 읽는 산림청/생생! 산림정보 2019.03.14
숲 가꾸기가 지구 온난화 막는다! 숲 가꾸기가 지구 온난화 막는다! - 소나무림 탄소 저장량, 방치 산림보다 높아 - ▲ 숲가꾸기를 안한 숲 ▲ 숲가꾸기를 한 숲 숲 가꾸기 사업을 한 산림이 하지 않은 산림보다 이산화탄소를 더 많이 흡수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 숲 가꾸기 사업: 인공 조림지나 천연림이 건강하고..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5.09.23
"보안림?", "아하! 산림보호구역!" "보안림?", 아하! "산림보호구역!" 산림청 대학생 블로그 / 임승인 전라남도 산림환경연구소 카페, 2007. 8. 16 산림행정용어. 무언가 딱딱하고 어려운 느낌이 든다. 그도 그럴 것이 대부분이 한자투나 일본어식으로 만들어져 있다.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들에게 문제를 하나 내도록 하겠다. 1. 하예 2. 치.. Forest 소셜 기자단 -/2010년(1기) 2010.07.28
'보안림'? 이젠 '산림보호구역'! '보안림'? 이젠 '산림보호구역'! 산림청, 암호같이 어려운 한자투·일본어식 산림행정용어 94개 순화 '보안림' '하예' '치수무육' '운재로' '집재' '석력지' '울폐도'… 산림 작업이 행해지는 곳에서는 흔히 쓰이는 말이지만 어려운 한자투나 일본식 표기인 탓에 일반 국민은 여간해서 그 뜻을 알기 어려운..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0.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