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쉬운 산림 지식(7)
새는 왜 지저귈까요?
새는 왜 지저귈까요?
평소에는 먹이와 위험한 천적 등을 알리는 정보교환의 방법이며, 번식기에는 수컷이 암컷에게 사랑을 호소하거나 다른 수컷에게 자신의 영역을 알려 침입을 막는 의사전달 방법입니다.
황새는 성대가 퇴화하여 지저귈수 없습니다.
알기쉬운 산림 지식(8)
새의 비행
제일 빨리나는 새 우리 주위에 살고 있는 새들의 비행 속도는? 날지 못하는 새 날개가 제일 긴 새
새가 나는 높이
알기쉬운 산림 지식(9)
새의 해충구제 효과
박새 1가족이 년간 잡아먹는 벌레는 8만마리. 중국에서 참새를 4해(四害) 중 하나로 보아 대규모로 소탕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참새를 소탕한 그 다음해 농작물이 해충에 의한 피해를 받아 엄청난 흉년이 들어 참새를 4해에서 제외하였습니다다.
|
산림청의 소리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읽는 산림청 > 아하! 궁금한 산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귀함을 상징하는 매화나무 이야기 (0) | 2010.11.05 |
---|---|
가장 나중에 수확하는 감나무 (0) | 2010.09.16 |
산 속의 안내인, 등산안내인을 아시나요? (0) | 2010.09.08 |
공룡과 친구인 은행나무 이야기 (0) | 2010.08.27 |
새콤달콤 배나무 이야기 (0) | 2010.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