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입맛은 봄나물로!> 봄이 되면 생각나는 봄임산물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어느새 봄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살랑살랑 부는 바람에 봄을 체감할 수 있는데요. 이럴때 생각나는 봄 임산물! (혹은 봄나물) 있지 않으신가요? 내맘대로 골라본 봄 임산물 3종 세트! 소개하려고 합니다. 집나간 입맛을 되돌아오게 하는 건 제철 나물, 제철 과일 등이 .. 즐기는 산림청/임산물 먹거리 2018.03.16
늦봄 산끝자리에서 만난 겨우살이 늦봄 산끝자리에서 만난 겨우살이 산림청 블로그 일반인 기자단 유태영 ※ 본 저작물의 무단전제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멀리 나무끝에 무심하게 보면 새둥지려니 하고 지나치려 하였는데 잠시 발길을 멈추고 고개를 들어 시선을 높여 나뭇가지를 자세히 살펴보니 겨우살이가 나무끝.. Forest 소셜 기자단 -/2014년(5기) 2014.04.18
산나물, 잘 먹으면 약초 잘못 먹으면 독초! 산나물, 잘 먹으면 약초 잘못 먹으면 독초 - 산림청, '봄철 독초 식중독 피해주의' 당부 - 본격적인 산나물, 약초 채취시기를 맞아 산으로 들로 나물캐러 많이 가시지요?^^ 맛있고 몸에 좋은 제철 나물을 캐는것도 중요하지만 산나물이나 약초를 채취할 때는 반드시 산주의 사전 동의를 얻..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4.04.16
어린 시절에 만나는 자연은 살아가는 힘이 되어준다 어린 시절에 만나는 자연은 살아가는 힘이 되어준다 산림청 블로그 주부 기자단 이은성 올 겨울엔 유난히 눈이 많다 창문 밖으로 보이는 북한산은 온통 하얀 눈을 뒤집어쓰고 있고, 매서운 바람은 겨울을 실감나게 한다. 이렇듯 얼음처럼 차가운 겨울날엔 따듯함이 그리워지고 봄 내음도.. Forest 소셜 기자단 -/2013년(4기) 2013.02.21
식이섬유가 풍부해요! '고사리' 식이섬유가 풍부해요…고사리 고사리는 햇볕이 잘 드는 양지에서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굵은 지하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군데군데 잎이 나오며 높이 1m 내외까지 자랍니다. 잎은 긴 달걀 모양 또는 젋은 피침형이고 아랫잎은 마주나나 윗잎은 어긋나며 7~8월에 흰꽃이 핍니다. 고.. 즐기는 산림청/임산물 먹거리 2012.09.20
봄을 재촉하는 개울 옆 꽃소녀…동의나물 봄을 재촉하는 개울 옆 꽃소녀…동의나물 이유미 국립수목원 박사 오랜 만에 산에 올랐습니다. 산의 그늘진 사면엔 아직 흰 눈이 소복합니다. 계곡가엔 얼음이 얼어 있기도, 혹은 눈들이 소리없이 조금씩 조금씩 녹아 졸졸 물이 흐르기도 합니다. 귀 기울여 그 물소리를 들으니 봄..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12.02.23
봄나물, 산이 가져다주는 여섯가지 보약 봄나물, 산이 가져다주는 여섯가지 보약 산림청 대학생 기자단 / 김혜미 저번 주 토요일 우리가족은 따뜻한 봄날을 맞아 쑥과 두릅을 재배하기 위해 주말농장을 찾았습니다. 집이 남양주시다 보니 주말농장을 가는 길 주위가 모두 천마산이네요 일요일이라 그런지 주말농장에 많은 사람.. Forest 소셜 기자단 -/2011년(2기) 2011.04.26
"이제 임산물도 온라인 쇼핑몰에서 거래하세요" 이제 임산물도 온라인 쇼핑몰에서! 임산물 직거래장터 'e-숲으로'개장…오픈이벤트엔 푸짐한 선물이 가득 산림청은 지난 15일 온라인 임산물 쇼핑몰 'e-숲으로'(www.esupro.co.kr 또는 www.esupro.com)를 개장, 본격 서비스를 시작하고 오픈을 기념하는 다양한 이벤트도 함께 벌이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는 임산..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0.11.16
바람개비 같은 노란 꽃잎, 바람타고 도는 듯.. 바람개비 같은 노란 꽃잎, 바람타고 도는 듯.. 이유미 국립수목원 박사 오늘 받은 우편물엔 세상에, 내년 달력이 들어있었습니다. 아직 그 어떤 일도 마무리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데 벌써 한 해를 마치고 내년을 준비할 때가 된 모양입니다. 1주일에 한 장씩 이 땅에 살고 지는 아름다운 우리 꽃 사진..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10.11.09
민초의 삶을 닮은 짚신나물 민초의 삶을 닮은 짚신나물 이유미 국립수목원 박사 가을이 깊어 가는 산길에 짚신나물 열매가 매달립니다. 여름내 산길에 밟히도록 지천이던 이 꽃을 눈여져 보아주지 않은 섭섭함을 이렇게 열매가 되어서라도 풀고 싶은 모양입니다. 특별히 보아 주는 이가 없어도, 유난스런 쓰임새가 없어도 그저 ..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10.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