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물요리!> 시원한 국물맛이 일품인, 죽순계란탕 죽순을 식재료로 사용한 역사는 꽤 오래되어 중국 한나라 때 발간된 <주례>에 기록이 남아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 고려시대 때 제사음식으로 죽순이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조선시대 발간된 <증보산림경제>, <임원경제지>에도 다양한 죽순음식이 등장하고, 조선후기.. 즐기는 산림청/임산물 먹거리 2018.04.19
<#왜그럴까_시리즈> 우후죽순(雨後竹筍), 대나무는 얼마나 빨리 자랄까요? <#왜그럴까_시리즈> 우후죽순(雨後竹筍), 대나무는 얼마나 빨리 자랄까요? 왜! 왜! 왜그럴까 시리즈! 하늘로 높이 솟은 대나무를 보면 괜히 나도 모르게 시원한 기분이 듭니다. 근데 이렇게 길고 쭉 뻗은 대나무는 얼마나 빨리 자랄까요? 이렇게 긴 대나무는 몇십 년에 걸쳐서 자라난 걸.. 읽는 산림청/아하! 궁금한 산림이야기 2017.09.04
<#숲이 만든 대표 요리재료> 임산물 시리즈 - 죽순 숲이 만든 대표 요리재료 나도 임산물! 죽순 죽순이 임산물이라는 것은 많은 분들이 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죽순은 대나무류의 땅속줄기에서 나는 어리고 연한 싹을 말하는데요. 늦은 봄인 5~6월 사이에 대나무 밭에서 캡니다. 죽순은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되며 남부지방에서 많이 자.. 즐기는 산림청/임산물 먹거리 2017.06.13
나무도 아닌 것이 풀도아닌 것이 '대나무' 이야기 나무도 아닌 것이 풀도 아닌것이 '대나무' 시원스레 쭉쭉 뻗은 키, 푸른 녹색을 띠는 줄기, 뿌린 대로 거두는 올곧은 몸. 대나무를 ‘절개’와 ‘의’의 표상이라 함은, 대나무가 지닌 속성과 매우 닮아 있습니다. 풀과 나무 사이 고산 윤선도(1587~1671)는 오우가(五友歌)에서 나무를 이렇게 .. Forest 소셜 기자단 -/2016년(7기) 2016.06.23
5월 제철 임산물 먹거리 뭐가 있을까? 숲이 키워 더욱 몸에 좋은 우리 ‪#‎임산물‬ ! 고기랑 단짝! 쌈으로 즐겨먹는 곰취부터 살짝 데쳐서 초장에 콕! 향긋한 두릅, 표고버섯도 말린 건조보다 생표고로 즐겨보세요, 이렇게 다양한 5월에 수확되는 제철 임산물들 쏙쏙~ 보기 간편한 카드뉴스로 알려드릴께요~ 산림청.. 보는 산림청/톡톡! 인포·카드뉴스 2016.05.18
대나무 밭의 황금먹거리 대나무 밭의 '황금 먹거리' Q : 대나무도 먹을 수 있나요? 대나무는 잎을 차로 만들어 마시거나, 수액을 채취하여 음료로 사용하지만 대나무에서 나오는 먹거리는 죽순이 가장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죽순은 대나무의 땅속줄기에서 돋아나는 여리고 연한 싹이며 건강 먹거리로 알려.. 읽는 산림청/아하! 궁금한 산림이야기 2015.06.15
'구기자', '죽순', '참숯' 임산물 브랜드 대열에 합류! '진도 구기자' '담양 죽순' '횡성 참숯' 지리적표시 임산물 1년 이상 심사거쳐 2일 지정…산업화 기반 갖추고 지적재산권 보호도 가능해져 오밀조밀 전남 진도 '구기자', 쫄깃쫄깃 전남 담양 '죽순', 강원 횡성의 '참숯'이 이 지리적표시등록 임산물 브랜드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산림청은 2일 이들 임산.. 읽는 산림청/생생! 산림정보 2011.03.03
'거제맹종죽순' 지리적표시 등록 심의통과 '거제맹종죽순' 지리적표시 등록 심의통과 산림청은 지난해 8월 17일 지리적표시 등록신청서를 제출했던 '거제맹종죽순'이 1·2차 서류심사와 현지조사 등 종합적인 심의과정을 거쳐 6월 14일에 지리적표시 등록심의를 최종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거제맹종죽순'은 앞으로 2개월간 산림청과 거.. 읽는 산림청/E-숲 news 2010.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