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군 상남면 하남리 산불 원인, 벼락으로 추정! 지난 12일 인제군 상남면 하남리 미기동 뒷산 900m 정상에서 발생된 산불은 낙뢰가 원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산불이 발생하자 인제국유림관리소는 산림공무원과 산불진화영림단원 30명을 신속히 투입하였다. 하지만 산세가 험하고 일몰이 시작됨에 따라 인력의 투입과 헬기비행에 대한 안전사고가.. 읽는 산림청/E-숲 news 2006.10.17
국유림경영이 산촌주민 소득에 기여방안 찾는다 산촌주민들의 소득 향상과 국유림 경영 방식 개선을 위한 협약이 이루어졌다. 영월국유림관리소와 영월군 하동면 와석2리는 10월 12일 10시 와석2리 마을회관에서 관계자 20여명(국유림관리소 7, 마을주민 15)이 참석한 가운데, “산림복합경영 모델림 조성”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번 협약은 산촌.. 읽는 산림청/E-숲 news 2006.10.17
건강한 숲~~ 우리가 만들어요! 리기다소나무를 산업용재로 공급하고 생태ㆍ환경적으로 건강한 새로운 숲을 조성하고자 2006. 10. 11일 임업분야 전문가을 초청하여 홍천군 홍천읍 상오안리 리기다소나무 숲에서 현장토론회가 개최되었다. 리기다소나무는 산업용재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인 숲길 조성을 위한 재료로 공급.. 읽는 산림청/E-숲 news 2006.10.17
마을번영회와 함께한 구룡령 옛길 걷기 지역번영회와 합동으로 양양군과 홍천군의 경계인 구룡령 정상에서 옛길 걷기행사가 실시되었다. 산림청 양양국유림관리소는 2006. 10. 12.(목) 양양군 서면 갈천리 국유림에서 주민 및 지역인사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구룡령 옛길 걷기대회를 실시했다. 행사를 위해 참석한 사람들이번 행사는 마을번.. 읽는 산림청/E-숲 news 2006.10.17
산불! 왜 일어났는지 알아낼 수 있다 캐나다 산불현장 감식기법 중 발화물질 확인 실습 2006.9.16 ~ 9.24(9일)간 캐나다 BC주에 위치한 크렌브룩(Cranbrook)에서 산불원인 현장감식에 대한 최신의 이론 및 실습교육이 있었다. 산림인력개발원 산불방지훈련과장을 비롯하여 6명이 참석한 이 교육은 앞으로 우리나라의 산불예방 및 진화에 크게 기여.. 읽는 산림청/E-숲 news 2006.10.17
국민의 숲 협약 체결 국민을 위해 가꾸어 온 숲을 국민에게 제공하여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산림청 삼척국유림관리소(소장 정차식)는 2006년 10월 12일 삼척시 도계읍 신리(속칭 정거리재)에서 (주)경동 상덕광업소(소장 성대용)와 양측 직원 35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민의 숲 협약식을 체결하고 숲가꾸기 체험 행사.. 읽는 산림청/E-숲 news 2006.10.17
산불진화헬기체험도하고 사생대회도 하고 익산산림항공관리는 "산불진화헬기와의 만남”이란 주제로 관내 왕궁초등학교 전교생 110명을 초청 산불진화헬기체험과 산불진화헬기를 주제로 한 사생대회를 가진다. 이날 헬기체험행사에 참여하는 어린이들은 전북 익산 왕궁면에 위치한 왕궁초등학교 전교생으로 이들은 가을소풍행사를 겸하여, .. 읽는 산림청/E-숲 news 2006.10.17
조림 CDM(청정개발체제) 사업의 활용 가능성 제시 조림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청정개발체제) 사업은 개도국에 산림을 조성하여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달성할 뿐만 아니라 개도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포스코(POSCO) 등 온실가스 다배출 기업들이 많은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하지만 조림 CDM 사업의 세부규칙 및 절차, 사업.. 읽는 산림청/E-숲 news 2006.10.17
국립산림과학원 우수 산림과학기술 전시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자체 개발한 산림과학기술을 널리 알리고자 농림부 주최로 열린 「2006 농림과학기술대전」에 참가하여 9월 27일부터 9월 29일까지 3일간 산불위험예보 실시간 웹 서비스 시스템 등 6개 임업기술을 전시하였다. 산림과학기술관(독립부스) 전시한 산림과학기술은 산불위험예보 .. 읽는 산림청/E-숲 news 2006.10.17
내화수림대조성사업 추진 산불발생 위험도를 낮추고 산불의 진행과 확산 · 억제를 목적으로 『주요시설물 · 도로 · 철도 · 임도 · 집단마을 · 농경지 · 능선 주위의 숲 또는 대형 산불피해복구 대상지』에 띠 모양으로 조성하거나 기존의 숲을 개선한 내화수림대 조성사업이 추진된다. 내화수림대 조성사업의 추진배경.. 읽는 산림청/E-숲 news 2006.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