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박한 꽃 빛, 줄기는 정겨운 바구니로 [댕댕이덩굴] 소박한 꽃 빛, 줄기는 정겨운 바구니로 [댕댕이덩굴] 하찮은 식물은 없다. 잔디밭에 콩이 들어가면 콩이 잡초가 되고, 콩밭에 잔디가 들어가면 잔디가 잡초가 아니겠는가. 잡초 역시 사람의 관점에서 만들어낸 개념이니 절대적 잡초는 없다. 그렇게 알면서도 사람 마음은 참 간사하다. 쭉쭉 뻗은 낙락..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22
꽃이피지 않는 야생화 고비 식물은 식물이지만 꽃이 피지 않고, 그래서 종자가 달리지도 않는 것들이 있는데 바로 고사리, 고비, 고란초와 같은 양치식물들입니다. 양치식물들은 꽃 대신 암수를 가지고 있는 전엽체란 것이 있고 종자 대신 포자로 번식하죠. 그래서 꽃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야생화분야에 어색하게 생각될 지 모르..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16
수줍게 고개숙인 은방울 꽃을 찾아보세요 은방울꽃은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여린 순을 나물로 먹기도 하고 한방에서는 붉은색으로 익는 열매를 강심제나 이뇨제, 혈액순환촉진제 등으로 사용하기도 지만 이 꽃의 가장 큰 용도는 아무래도 관상용이라 할 수 있습니다. 봄이면 나무가 들어찬 숲속, 간간이 드러나는 틈 사이로 따사로..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16
한 여름의 노오란 꽃송이들 해란초는 현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우리 나라뿐 아니라 북반구의 다른 나라, 비슷한 조건에서 두루 볼 수 있는 꽃입니다. 모래땅 속에 뿌리는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자라고 그 마디에서 새싹이 돋습니다. 그래서 해란초는 한 무더기씩 줄지어 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란초는 식물보다 ..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16
기운 없을땐 산마늘을 드셔보세요 산에서 혹은 식물과 관련해서 일을 하는 사람들 중에는 산마늘에 관심을 두는 사람이 많다. 어느 정도냐 하면 산골 아낙들은 산마늘이 생기면 몰래 남겨두었다가 가장 소중한 사람에게 준다고 한다. 물론 이 산마늘을 먹으면 몸에 아주 좋고 힘이 많이 난다고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 과학적인 분..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16
지금은 온통 제비꽃 세상입니다. 오랑캐꽃, 앉은뱅이꽃, 병아리꽃, 반지꽃, 씨름꽃, 외나물꽃등으로 불리는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전국에 널리 퍼져 자라므로해서 이렇게 각지방마다의 이름이 각기 달랐던것을, 한세기 전쯤 제비꽃으로 이름을 통일하였읍니다. 제비꽃 종류만하여도 현재 등록되여 있는것만도 얼추 70여가지가 된답니..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16
뒷산 진달래, 조금씩 조금씩 추억속으로 숲 사이에 퍼지듯 피어나는 진달래는 어쩌면 이렇게 해마다 마음을 흔들어 놓는지. 자라오면서 가장 먼저 외웠던 시도 ‘사뿐히 즈려 밟고 가라던’ 김소월 님의 진달래꽃이었고, 꽃으로 아름답게 만든 음식을 먹을 수 있다는 소박한 사치의 즐거움을 처음 알게 해주었던 것도 진달래 꽃잎을 올려놓..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16
날씨와 함께 국립수목원 소개합니다. 날씨와 생활(SBS) '국립수목원 소개' 가을철을 맞아 날씨뉴스 프로그램을 활용해 수목원, 자연휴양림, 등산 등 소개 되었답니다. 주진순 박사 : 국립수목원은 우리나라 산림생물종에 대한 조사·수집·분류 및 보전, 희귀 특산식물의 보전 및 복원, 국내외 유용식물자원의 탐사 및 이용기술의 개발, 전.. 읽는 산림청/E-숲 news 2009.09.09
국립수목원 ‘아리’ 위령제 지냈습니다. 국립수목원 ‘아리’ 위령제 지내 늑대 아리 위령제 묵념 지난 28일 국립수목원 산림동물원을 탈출했던 늑대 '아리'가 생포가 어렵고 민가의 피해가 우려되 사살되었는데요. '아리'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위령제를 지냈답니다. 위령제는 ‘아리’가 사살된 장소에서 멀지 않은 근처의 숲에서 국립수목.. 읽는 산림청/E-숲 news 2009.09.09
국립수목원 탈출늑대 포획 국립수목원 탈출늑대 포획 - 2009. 8. 25일 오전 탈출했던 늑대 포획 - 지난 2009년 8월 25일 10시 40분경 국립수목원 산림동물원에서 탈출했던 늑대 1마리(암컷)를 8월 26일 오후 2시 44분경에 포획(사살)하였다고 합니다. 이 번에 포획한 늑대는 12살 된 암컷으로 2007년 3월 25일 늑대 3마리를 분만하여(암컷 1마.. 읽는 산림청/E-숲 news 2009.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