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을 잠시 벗어난 둘레길, 평창마을길 산을 잠시 벗어난 둘레길, 평창마을길 산림청 블로그 일반인 기자단 전준형 북한산둘레길은 모두 산길로만 이루어져 있을까요? 정답은 ‘그렇지 않다’입니다. 특히나 오늘 걸은 북한사둘레길의 제6구간인 ‘평창마을길’은 길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마을’을 관통하는 길이기 때.. Forest 소셜 기자단 -/2014년(5기) 2014.09.16
백운호수 둘레길이 신비로운 의왕시 바라산 자연휴양림 백운호수 둘레길이 신비로운 의왕시 바라산 자연휴양림 산림청 블로그 일반인 기자단 이재철 바라산은 경기도 의왕시, 성남시 등에 걸쳐진 수도권에서 아름다운 산중에 하나입니다. 산의 높이는 해발 430m이고, 광교산-백운산-함박곡으로 이어진 유명한 산입니다. 일명 발아산(鉢兒山),또.. Forest 소셜 기자단 -/2014년(5기) 2014.09.03
해질 무렵의 고모리저수지 수변공원 둘레길산책 해질 무렵의 고모리저수지 수변공원 둘레길산책 산림청 블로그 주부 기자단 김미현 요즘처럼 저녁때 산책하기 좋은 계절, 경기도 포천의 소흘읍 고모리 저수지를 찾았다. 서울근교의 가볼만한 곳으로 주변에 맛집과 카페가 많아 연인들이나 가족끼리 가볍게 산책하기 좋은 곳이다. 평일.. Forest 소셜 기자단 -/2014년(5기) 2014.08.28
한양과 안양의 징검다리! 안양예술공원 둘레길 한양과 안양의 징검다리! 안양예술공원 둘레길 산림청 블로그 일반인 기자단 이재철 지하철 2호선 서울대 입구역을 나와 관악산 만남의 광장에서 관악산 입구로 들어가면 서울대학교 수목원 둘레길이 시작된다. 입구에서 500미터를 가면 이정표 따라 야외 식물원 방향으로 가면 된다. 수.. Forest 소셜 기자단 -/2014년(5기) 2014.07.10
걸으면 행복해지는 쌍문 역사 산책길! 걸으면 행복해지는 쌍문 역사 산책길! 산림청 주부 블로그 기자단 김미현 눈부신 신록에 산들바람이 싱그러운 날, 걷기에 좋은 오전이나 해가질 무렵 동네를 산책하는 즐거움은 항상 상쾌함을 선물한다. 올초 우연히 동네를 산책하다가 길바닥에 새겨진 “걷고 싶은 서울길”을 발견했다.. Forest 소셜 기자단 -/2014년(5기) 2014.06.24
바람과 나무와 별을 노래하는 성북동 둘레길 바람과 나무와 별을 노래하는 성북동 둘레길 산림청 블로그 일반인 기자단 이재철 성북동 나그네 북방의 차디찬 풍파를 한성이 떠 받쳐주고 북악의 당당함을 이어가는 곳. 천년의 숲으로 신비로움을 간직한 채 사랑하는 우리들의 님은 떠나갔지만 바람과 나무와 별들은 오늘도 살포시 스.. Forest 소셜 기자단 -/2014년(5기) 2014.06.14
역사의 향기가 묻어나는 수원화성 둘레길에서 산책을! 역사의 향기가 묻어나는 수원화성 둘레길에서 산책을! 산림청 블로그 일반인 기자단 배용 조선 시대 왕 정조의 어느 하루를 다룬 영화 한 편이 최근에 개봉되었습니다. 이 영화가 세간의 관심을 받고 있기도 하고 산책하기에 좋다고 하여 5월 첫 휴일에 수원화성 둘레길을 찾았습니다. 수.. Forest 소셜 기자단 -/2014년(5기) 2014.05.23
동물-식물-사람과 자연이 함께 어울리는 서울동물원 둘레길 동물-식물-사람과 자연이 함께 어울리는 서울동물원 둘레길 산림청 일반인 블로그 기자단 이재철 한양길 관문 청계산을 바라보며.. 남쪽 삼도에서 숨가뿐 여정속에 한양을 바라볼 수 있는 곳 관악산자락 아래 과천을 넘나들던 길 옛부터 푸른 계곡으로 신비로움을 간직한채 돌바위 하나, .. Forest 소셜 기자단 -/2014년(5기) 2014.05.22
진주 둘레길 가족나들이, 부부데이트로 그만 진주 둘레길 가족나들이, 부부데이트로 그만 산림청 블로거 일반인 기자단 김종신 “심장이 쪼그라들고 힘들어요~ 집에 있고 싶어요. 안 가면 안 돼요.” 초등학교 4학년 막내 녀석이 아빠의 재촉에도 계속 뾰로통한 채로 머뭇거린다. 모처럼 5명의 가족 모두가함께하는 시간이라 근처 산.. Forest 소셜 기자단 -/2014년(5기) 2014.05.16
장 가르기 후 나선 봉미산 소나무 둘레길에서 봄을 마주하다 장 가르기 후 나선 봉미산 소나무 둘레길에서 봄을 마주하다 산림청 블로그 주부 기자단 유정희 서울에서 전통 방식으로 된장과 집간장을 담가 먹기 위해 도시 근교의 시설을 이용하여 잘 띄운 메주와 준비한 재료를 이용해 [장 담기 →장 가르기 →장 나누기] 세 차례 방문으로 진행이 .. Forest 소셜 기자단 -/2014년(5기) 2014.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