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인이 봉선화 물들이기를 했던 이유 봉선화 물들이기는 손톱을 아름답게 하려는 여인의 마음의 표현이면서 아울러 붉은빛이 벽사의 뜻이 있으므로 병마와 악귀로부터 몸을 보호하려는 민간신앙의 의미도 포함돼 있다. 봉선화(봉숭아)하면 생각나는 노래가 있다. '울밑에선 봉선화야 네 모양이 처량하다/ 길고 긴 날 여름철에 아름답게 ..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16
출산에 얽힌 풀꽃나무 이야기 임산부는 아기를 낳을 때에 그 진통을 견디기 위해 나무를 꼭 붙잡거나 그 나무 위·아래를 출산자리로 여기는 습속이 있었다. 임신 때는 금기음식을 삼가고 나쁜 행동을 절제했으며, 출산 후엔 보양식을 먹고 금줄을 쳐서 병균의 출입을 막기도 했다. 여성이 가장 힘들고 고통스런 순간은 출산의 순..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16
성(性) 의식의 기이한 민속 간통한 여인이 처벌되거나 자살할 때에 목을 매었던 나무가 자녀목(恣女木)이다. 조선시대에는 부정한 여인을 끔찍한 형벌로 다스리는 법률이 있었기에 자녀목이라는 기이한 민속이 나타났다. 또한 동료나 선배기생의 단골손님을 가로챈 기생에게는 속옷을 벗겨 비탈진 통나무에 태우고 강제로 끌어..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16
계모설화에 등장하는 꽃나무 우리의 계모설화에서 버드나무 또는 대나무는 전처자식에게 도움을 주는 반면에 계모에겐 나쁜 마음씨를 들통나게 하는 것으로 등장한다. 또한 악한 계모에게 구박받아 죽은 자매는 장미와 연꽃으로 다시 태어나 계모에게 복수를 한다. 설화 속의 여성상은 다양하다. 그 중에서도 우리 계모설화 속의..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16
용의 눈을 닮으려는 까마중을 만나보세요! 얕은 막한 산 능선 구석진 곳에 숨어 반짝반짝 눈알을 굴리는 소리가 가을서부터 초겨울까지 들려옵니다. 들판 한복판 지들끼리 얼기 설기 풀섶을 이룬 한 쪽 모퉁이에 어김없이 댕글댕글 눈알을 굴리며 잔뜩 움쿠려 숨어있는 야생초가 우리를 향해 노려 보고 있습니다. 지나는 이의 발자국 소리를 숨..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16
음양 나무의 여신(女神)과 성의 조화 우리 나무숲의 산림은 음양의 조화처럼 여성 산신도 있고 남성 산신도 있지만 기원은 여성 산신이었다. 원주 신림의 성황림은 여성 신목과 남성 신목이 상대적 일체감을 보여주었고, 민속의 나무시집보내기는 음과 양을 결합시킨 유감주술이었다. 이야기 하나, 산신은 여신에서 시작돼 신(神)은 자연..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16
꽃나무 소재의 북한영화에 등장하는 여인의 삶 꽃나무를 소재로 한 북한영화에서는 항일투쟁의 사상성 고취와 농촌사랑 및 산림녹화를 위해 여성의 역할이 매우 중요시되었다. 설움을 이겨내고 당당한 일꾼이 되는 과정에서 그 자신을 꽃나무와 일체화시켰다. 이번 호에서는 북한의 여인과 꽃나무에 얽힌 이야기를 들추어낸다. 영화 속에 그려진 ..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16
민요풍의 가락에 비친 여인 우리네 여인들은 꽃나무와 관련한 민요풍의 노래 부르기를 무척 좋아했다. 이를 통해 생활의 어려운 형편을 묘사했음은 물론 노동의 고난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도 했다. 잘알려진 '꽃타령'은 여인들이 즐겨 불렀던 노래다. 여러 꽃의 이름을 들며 그 꽃의 빛깔, 향기, 모양 등을 그리는 내..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16
꽃나무 설화에 나타난 여인의 삶 나무전설 속의 여인은 풀꽃전설의 여인과는 약간 달리 일편단심의 사랑을 위해 죽어 나무로 변한 이야기가 주종을 이룬다. 또한 그리움의 감정을 극단적인 삶으로 승화시킨 경우도 더러 있다. 즉 나무전설 속의 여인은 삶과 사랑과 자연과의 관련성을 진지하게 성찰하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16
고전소설「화사」에 등장하는 꽃나무 여인 조선 중기의 소설 '화사'는 풀꽃나무를 인격화시켜 왕국의 흥망을 그린 작품이다. 왕비는 계화, 매화, 버들 등으로 의인화했으며, 매화는 도나라, 모란은 하나라, 연꽃은 당나라의 왕으로서 왕국을 통치한다. 그러나 이들 나라는 부정한 인재 등용, 미인과의 사치스런 행동, 숭불정책 고집 등으로 모두 .. 즐기는 산림청/꽃과 나무 2009.10.16